- 발음
- [물러안따

- 활용
- 물러앉아[물러안자





- 품사/문형
- 「동사」 【…에서】【…으로】
- 「001」있던 자리에서 물러나 앉다.
- 어머니는 긴 한숨을 찬찬히 내어 뱉으며 아들 머리맡에서 물러앉는 것이다.≪이무영, 농민≫
- 어머니는 머리를 저으며 뒤로 물러앉았다.≪조세희,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역사 정보
믈러앉다(15세기~18세기)>물러앉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물러앉다’의 옛말 ‘믈러앉다’는 ‘므르다’와 ‘앉다’의 복합어이다. ‘므르다’는 현대 국어에는 쓰이지 않으나 ‘물러가다, 물러나다, 물러서다, 물리치다’ 등에 흔적을 보인다. 양순음 ‘ㅁ’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는 18세기에 두드러지는 현상이다. 용례가 보이지는 않으나 18세기에 ‘물러가다’ 등의 용례는 보이기 때문에 ‘물러앉다’도 18세기부터는 쓰이기 시작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믈러앉다, 믈어앉다, 믈너앉다, 물너앉다, 물러앉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