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멈추다

- 활용
- 멈추어[멈추어


- 품사
- 「동사」
- 「001」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이 그치다.
- 시계가 멈추다.
- 차가 멈추다.
- 울음소리가 멈추다.
- 귀덕이는 그만 숨이 끊기는 듯 가슴의 맥질이 멈추는가 싶었다.≪천승세, 낙월도≫
- 엘리베이터가 멈추며 문이 열렸다.≪이인성, 그 세월의 무덤≫
- 천막을 빠져나와 걷던 걸음이 멈춘 곳은 교회 앞이었다. 문이 열려 있었다.≪한수산, 부초≫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멎다
- 지역어(방언)
- 멈추쿠다(강원), 멈차다(경남), 멈치다(경상, 전북), 머끄다(전남), 머크다(전남), 멍크다(전남), 먼추다(평북), 머추다(평안, 함남, 황해)
- 옛말
- 머추다
역사 정보
머추다(15세기~16세기)/머초다(15세기)>멈초다(18세기)>멈추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멈추다’의 옛말인 ‘머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머추다’는 동사 ‘멎-’에 사동접미사 ‘-후-’가 결합한 것이다. 접미사 ‘-후-’와 음상 차이를 보이는 접미사 ‘-호-’가 결합한 ‘머초다’도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는 ‘머초다’의 제1음절에 종성 ‘ㅁ’이 첨가된 ‘멈초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이처럼 ‘ㅊ’ 앞에서 비음 ‘ㅁ’이 첨가되는 것은 ‘초다’에서 변화한 ‘초다’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19세기에는 ‘멈초다’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멈추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머추다, 멈초다, 멈츄다, 멈추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