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입씨름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말로 애를 써서 하는 일.
칠 월 십 일에 시작된 정전 회담은 시월이 되어서도 아무런 진전 없이 입씨름만 계속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비슷한말
말-씨름
지역어(방언)
이금-씨름(전남)
옛말
입힐훔

역사 정보

입힐훔(15세기~16세기)>입힐흠(17세기)>입히름(18세기)>입씨름(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입씨름’의 옛말인 ‘입힐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입힐훔’은 명사 ‘입’과 “다투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힐후다’의 명사형 ‘힐훔’이 결합한 것이다. 17세기에는 제3음절 모음 ‘ㅜ’가 ‘ㅡ’로 바뀐 ‘입힐흠’ 형태가 나타났고, 18세기에는 ‘ㄹ’과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하여 ‘입힐음, 입히름’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18세기에 ‘ㅎ’이 ‘ㅣ’ 모음 앞에서 ‘ㅅ, ㅆ’으로 변하는 ‘ㅎ’ 구개음화가 일어났는데, ‘입히름’도 이러한 변화를 경험하여 19세기에 ‘입씨름’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입힐훔, 입힐홈, 입힐흠, 입히름, 입힐음, 입히롬, 입씨름
세기별 용례
15세기 : (입힐훔)
鬪는 다톨 씨니 鬪諍 말 겻고아 입힐훔  씨라 ≪1447 석상 20:27ㄴ
16세기 : (입힐훔, 입힐홈)
므슴 호려 입힐훔 료 ≪1510년대 번박 22ㄴ
시혹 보로 서르 섯거셔 사화 그 위죵며 시혹 쳐셕긔 입힐호모로 불로 여 가 미 가 엿구워 더 긔운니 디 아니라 ≪1518 정속-이 13ㄱ
17세기 : (입힐홈, 입힐흠)
므슴아라 입힐홈 리오 ≪1670 노언 상:59ㄱ
合口 입힐흠 對口 입힐흠1690 역해 상:65ㄴ
18세기 : (입힐홈, 입히롬, 입힐음, 입히름)
爭嘴 입힐홈 다 ≪1748 동해 하:28ㄴ
辦嘴 입히롬1790 몽보 28ㄴ
辦嘴 입힐음 다 ≪1775 역보 52ㄱ
이 젹은 거슬 위여 지져괴여 입히름 면 ≪1765 청노 4:21ㄱ
19세기 : (입씨름)
입씨름 다 爭 ≪1880 한불 4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