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스카다

- 활용
- 이슥하여[이스카여](이슥해[이스캐]), 이슥하니[이스카니]
- 품사
- 「형용사」
- 「001」밤이 꽤 깊다.
- 아버지는 밤이 이슥해서야 집에 돌아오셨다.
- 혼인 잔치는 밤이 이슥하도록 끝이 날 줄 몰랐다.≪심훈, 영원의 미소≫
- 세웅은 밤이 이슥하여 아무도 몰래 집 안으로 숨어들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6세기)>이슥다(17세기~19세기)>이슥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슥하다’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다’에서 제2음절의 ‘ㅿ’은 16세기에 소실되는 게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ㅅ’으로 변하여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이슥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는 ‘ㅏ’로 변하였는데 ‘이슥다’의 ‘’도 이 변화를 겪어 ‘이슥하다’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이다, 이슥다, 이식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