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스카다발음 듣기]
활용
이슥하여[이스카여](이슥해[이스캐]), 이슥하니[이스카니]
품사
「형용사」
「001」밤이 꽤 깊다.
아버지는 밤이 이슥해서야 집에 돌아오셨다.
혼인 잔치는 밤이 이슥하도록 끝이 날 줄 몰랐다.≪심훈, 영원의 미소≫
세웅은 밤이 이슥하여 아무도 몰래 집 안으로 숨어들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이다(15세기~16세기)>이슥다(17세기~19세기)>이슥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슥하다’의 옛말인 ‘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다’에서 제2음절의 ‘ㅿ’은 16세기에 소실되는 게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ㅅ’으로 변하여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이슥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는 ‘ㅏ’로 변하였는데 ‘이슥다’의 ‘’도 이 변화를 겪어 ‘이슥하다’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이다, 이슥다, 이식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이다))
 수레 프러 머교 이야   번 머겨 ≪1489 구간 7:49ㄴ
16세기 : ((이다))
이야 洋洋야 攸然히 逝더이다 ≪1590 맹언 9:9ㄴ
17세기 : ((이슥다))
그 터히 블그믈 야 면 이슥야 절로 통니 ≪1608 언태 70ㄴ
18세기 : ((이슥다))
夷子ㅣ 憮然코 이슥야 오 ≪1749 맹율 3:39ㄴ
19세기 : ((이슥다, 이식하다))
이슥다 緩緩 ≪1880 한불 46
이식하다 夜晩 ≪1895 국한 23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