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여의다발음 듣기/여이다발음 듣기]
활용
여의어[여의어발음 듣기/여이여발음 듣기], 여의니[여의니발음 듣기/여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랐다.
알뜰히 사랑하는 애인을 여의고 아까운 청춘을 철창에서 썩히고, 그 빌미로 중병까지 들어….≪현진건, 적도≫
불행하게도 어린 항복은 아홉 살 때 그의 아버지를 여의게 되었다.≪박종화, 임진왜란≫
엄마를 갑자기 여읜 그는 큰길에서 보고 싶은 엄마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눈치였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여희다(15세기~19세기)>여의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여의다’의 옛말인 ‘여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모음 사이에 놓인 ‘ㅎ’이 탈락하여 ‘여의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여희다, 여다, 여히다, 여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여희다, 여다)
나 어버 여희오  그 브터 사로 ≪1447 석상 6:5ㄱ
離別은 여흴씨라1447 석상 6:6ㄱ
五陰이 如來 여욜뎬 五陰이 곧 本來 업스리니 ≪1465 원각 상1-1:63ㄱ
16세기 : (여희다, 여다)
가난니 그 가난 여희여  지븨 부히 도외요미 일로 니러나리니 ≪1518 정속-이 25ㄴ
秦ㅅ 해 드러갈 제 집 사려 여흴 저긔 셰호 ≪1518 번소 9:34ㄴ
 블기디 아니고 이제 여여 가노니 후에 다시 서르 몯 보리라 야 ≪1510년대 번노하 73ㄱ≫
17세기 : (여희다, 여다)
어버이 일 여희고 지비 가난터니 어미 셤기 졍셩으로 야 ≪1617 동신속 효4:22ㄴ≫
늘구메 당당이 여욤 호미 어려우니 어딘 소리 이 가매 빗나 ≪杜重23:19ㄴ≫
18세기 : (여희다, 여다, 여의다, 여히다)
物이 恩惠로  졀로 여희리 이시며  義로  절로 헐리 잇니 ≪1737 어내 2:11ㄴ
이런 됴 연으로 망쟤 악도을 여며 마귀신히 다 믈러 흣가리다 ≪1762 지장 중26ㄴ
내 어려셔 부친을 여의매 로뫼 명샤 학문을 리고 의슐을 업라 ≪1796 경신 26ㄴ
몸을 이긔고 욕심을 알면 엇지 얼골이 여읠리 이시리오 ≪1746 자성 외:23ㄴ
슉셰골육려 닐너 방변을 지어 악도을 여히고져 원니 ≪1762 지장 중11ㄴ
19세기 : (여희다)
사이 부모 여희고 울며 물을 일코도 울며 ≪1892 성직 11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