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여의다


- 활용
- 여의어[여의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부모나 사랑하는 사람이 죽어서 이별하다.
-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랐다.
- 알뜰히 사랑하는 애인을 여의고 아까운 청춘을 철창에서 썩히고, 그 빌미로 중병까지 들어….≪현진건, 적도≫
- 불행하게도 어린 항복은 아홉 살 때 그의 아버지를 여의게 되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엄마를 갑자기 여읜 그는 큰길에서 보고 싶은 엄마를 하염없이 기다리는 눈치였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예우다(경남, 전남), 어우다(전남), 제우다(전남), 에우다(전라)
- 옛말
- 여희다
역사 정보
여희다(15세기~19세기)>여의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여의다’의 옛말인 ‘여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모음 사이에 놓인 ‘ㅎ’이 탈락하여 ‘여의다’로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여희다, 여다, 여히다, 여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