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아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노엽거나 분한 마음.
부아가 나다.
부아를 내다.
부아를 돋우다.
부아가 치밀다.
나는 끓어오르는 부아를 꾹 참았다.
재수를 하고 있는 내 앞에서 학교 자랑을 하는 친구를 보니 은근히 부아가 났다.
내가 왜 아버지의 명에 이토록 꼼짝달싹을 못할까를 생각하니 은근히 부아가 끓었다.≪김원일, 노을≫
치수도 편노랑이가 그 아니꼽게 굴더라는 이야기에 슬며시 부아가 돋는다.≪이무영, 농민≫
윤수는 그 말을 듣고 생각할수록 부아가 끓어올라서 견딜 수 없었다.≪이기영, 신개지≫
남편의 말에 송 씨는 비로소 서서히 부아가 끓어올랐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별안간 부아가 끓어오르자 그는 경호의 편지를 발기발기 찢어서 입안에 놓고 한동안 그것을 잘강잘강 씹고 있었다.≪이기영, 고향≫
그는 잔뜩 부아가 난 얼굴로 자리를 차고 일어섰다.≪김원일, 불의 제전≫
윤태는 터지려는 부아를 참으며 이렇게 물었다.≪유주현, 하오의 연정≫

역사 정보

부하(15세기~17세기)>부아(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아’의 옛말인 ‘부하’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 19세기에 모음과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하였는데 ‘부하’도 이러한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단 문헌상으로 확인되는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다. 16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 ‘부화’는 제1음절 모음 ‘ㅜ’에 이끌려 제2음절 모음에 반모음 [w]가 첨가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부하, 부화
세기별 용례
15세기 : (부하)
부하와 기라 ≪1459 월석 4:7ㄴ
16세기 : (부화)
부화 폐 ≪1527 훈몽 상:14ㄱ
17세기 : (부하, 부화)
肺子 부하1690 역해 상:35ㄱ
머리와 념통과 肝과 부화  盤을 고 ≪1632 가례 10:32ㄱ≫
18세기 : (부화)
부화 폐 肺 ≪1781 왜해 상:18ㄴ
19세기 : (부화)
부화 肺 ≪1880 한불 339

관용구·속담(3)

관용구부아가 뒤집히다
분한 마음이 강하게 일어나다.
  • 김진구는 공손히 자기 잘못을 시인했건만 태수 령감은 이 말에 부아가 뒤집히고 말았다. ≪백양나무, 선대≫
관용구부아가 상투 끝까지 치밀어 오르다
부아가 몹시 치밀다.
속담부아 돋는 날 의붓아비 온다
가뜩이나 화가 나서 참지 못하고 있는데 미운 사람이 찾아와 더욱 화를 돋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골난 날 의붓아비 온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