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채다

- 활용
- 보채어[보채어


- 품사
- 「동사」
- 「001」아기가 아프거나 졸리거나 불만족스러울 때에 어떻게 해 달라는 뜻으로 울거나 칭얼거리다.
- 아이가 밤새 보채다.
- 어미의 젖꼭지만 찾으면서 울어 보채는 어린것을 안고, 오 서방은 어떻게 할 바를 몰랐다.≪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 게다가 화상을 당한 갓난이가 자꾸만 보채고 우는 소리에 잠이 들듯 하다가도 눈이 번쩍 떠졌다.≪심훈, 영원의 미소≫
- 현은 그에게 안긴 채 보채고 있는 소년의 눈을 환자로부터 가려주면서 등을 토닥거렸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멀게져 가는 젖이나마 잘 나오지도 않아 애기는 밤낮없이 보채기만 하는데, 닷새가 가고 열흘이 지나도 낫기는커녕 연방 깊이 곪아만 들어갔다.≪김정한, 축생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보차다(15세기~16세기)>보채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채다’의 옛말인 ‘보차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또한 ‘보차-’에 반모음 ‘ㅣ’[y]가 첨가된 ‘보채다’ 역시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표기상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근대국어 후기에 이중모음 ‘ㅐ’[ay]가 [ɛ]로 단모음화 하면서 현대 국어와 같은 ‘보채다’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보차다, 보채다’는 “괴롭히다” 정도의 의미로 쓰였다. 한편 18,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보다’는 이 시기 모음 ‘ㆍ’가 ‘ㅏ’와 소리의 구별이 사라졌기 때문에 표기에서 혼동이 일어난 것이고, ‘봇채다, 봇다’는 중철 표기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보차다, 보채다, 봇채다, 보다, 봇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보채는 아이 밥 한 술 더 준다
- 보채면서 자꾸 시끄럽게 구는 아이에게는 달래느라고 밥 한 술이라도 더 주게 된다는 뜻으로, 조르며 서두르는 사람이나 열심히 구하는 사람에게는 더 잘해 주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보채는 아이 젖 준다’ ‘젖은 보채는 아이한테 먼저 준다’
- 속담보채는 아이 젖 준다
- 보채면서 자꾸 시끄럽게 구는 아이에게는 달래느라고 밥 한 술이라도 더 주게 된다는 뜻으로, 조르며 서두르는 사람이나 열심히 구하는 사람에게는 더 잘해 주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보채는 아이 밥 한 술 더 준다’ ‘젖은 보채는 아이한테 먼저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