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놀리다발음 듣기]
활용
놀리어[놀리어발음 듣기/놀리여발음 듣기](놀려[놀려]), 놀리니[놀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4」놀이나 재미있는 일을 하며 즐겁게 지내게 하다. ‘놀다’의 사동사.
유신 장군은 군사들을 하루 동안 진탕 놀리고 싶었으나 왕명을 지체함이 신하의 도리가 아니라 생각하여….≪홍효민, 신라 통일≫
어떻게 공부시키느냐 하는 것보다도 어린이들을 어떻게 잘 놀리느냐 하는 것이 한층 더 어렵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이어령, 차 한 잔의 사상, 문학 사상사, 2003년≫
가자면 나부터 가야지. 네가 왜 먼저 서두르느냐? 나는 아이들을 놀려 놓고 온 터 아니냐?≪염상섭, 만세전, 창작과 비평사, 1987년≫

역사 정보

놀이다(15세기~19세기)>놀리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놀리다’의 옛말인 ‘놀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놀이다’는 동사 ‘놀-’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인데, 이 때 ‘-이-’는 기원적으로 ‘-기-’에서 ‘ㄱ’이 약화되어 후두 유성마찰음 ‘ㅇ[ɦ]’으로 실현된 것이다. 16세기 이후로 후두 유성마찰음 ‘ㅇ’이 사라지면서 그 자리에 ‘ㄹ’이 첨가된 ‘놀리다’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놀이다, 놀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놀이다)
珍 보오 玩 놀일 씨니 맛드러 가져 놀 씨라 ≪1459 월석 12:27ㄱ
이비 기우러 귀예 가며 머귀 세여 혀 놀이디 몯거든 ≪1489 구간 1:24ㄴ
16세기 : (놀이다, 놀리다)
 그리힐후디 말며 소 놀이디 말며 부체 붓디 말며 ≪1518 번소 3:32ㄱ
새삿기 어버의 겨틔셔 놀려 어버이 깃거콰뎌 더라 ≪1588 소언 4:16ㄴ
17세기 : (놀이다, 놀리다)
맷 믌겨리 솟니 가온 리 놀이 고래 잇도다 ≪1632 두시-중 22:18ㄴ
弄棒 나모 놀리다1690 역해 하:24ㄱ
18세기 : (놀리다)
잡노롯  이 불러 와 뎌 조 놀리 것 보쟈 ≪1765 박신 1:06ㄴ
19세기 : (놀이다)
혀을 날늠날늠 놀이다 掉舌啑啑 ≪1895 국한 35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