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말미암따

- 활용
- 말미암아[말미아마


- 품사/문형
- 「동사」 【…에】【…으로】
- 「001」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
- 이것은 나의 열등한 기억력, 그리고 그 쇠퇴에 말미암으나 개인에 한한 일인지도 알 수 없다.≪이희승, 먹추의 말참견≫
- 난데없는 구렁이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우리 집은 삽시에 엉망진창이 되어 버렸다.≪윤흥길, 장마≫
- 달균이가 돈을 벌어 오겠다고 절 골을 뜬 것도 그로 말미암은 가난 때문이었다.≪한승원, 겨울 폐사≫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기인-하다(起因하다)
역사 정보
말삼다(16세기)>말믜다(16세기)>말믜암다(16세기~18세기)>말미암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말미암다’의 옛말인 ‘말삼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말삼다’는 “까닭, 이유”의 의미를 지닌 명사 ‘말’와 동사 ‘삼다’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말’와 ‘삼다’의 결합이 마치 하나의 단어였던 것처럼 인식되면서 ‘ㅅ’이 약화되고 동시에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말삼다’는 16세기에 ‘말믜다’가 되었다. 16세기는 ‘ㅿ’이 소멸한 시기이기도 한데 이러한 변화에 따라 ‘말믜다’는 다시 ‘말믜암다’로 변하였다. 근대 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말미암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말삼다, 말믜다, 말암다, 말믜암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