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느리다발음 듣기]
활용
늘이어[느리어발음 듣기/느리여발음 듣기](늘여[느려발음 듣기]), 늘이니[느리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8」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다.
주렴을 늘이다.
김 씨는 벌써부터 점방에 국수를 발처럼 늘여 널고 있다가….≪최명희, 혼불≫

역사 정보

느리다(15세기~19세기)>늘이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늘이다’의 옛말인 ‘느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느리다’는 동사 ‘늘-’과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된 형태가 연철 표기 된 것이다. 15세기에 사동 접미사 ‘-이-’와 결합되는 단어들은 연철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점을 고려하면 이 예는 좀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18세기 이후 ‘느리다’를 분철 표기 한 ‘늘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늘리다’는 ‘느리다’를 중철 표기 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느리다, 늘리다, 늘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느리다)
欄 나모 느륜 高欄이오 ≪1459 월석 10:51ㄴ
黃金으로 노 라 긼 느리고1463 법화 3:74ㄴ
17세기 : (늘리다)
다만 모로미 달고 춍춍 늘려 굳게 다라 신主 쓰라 ≪1632 가언 8:15ㄱ
18세기 : (늘이다)
믈며 져 쥰쥰 셩이  병아를 초와시니 목을 늘이와 라고 순을 곱아 혀여 ≪1783 유육도윤음 2ㄱ
19세기 : (느리다)
아이 꿀어 안자 목을 느리여 칼을 기리더니 ≪1892 성직 4:10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