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두더지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동물』
「001」두더짓과의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두더쥐(강원, 전북, 충청), 두덕지(강원), 두재지(강원), 두저기(강원, 충남), 두제기(강원), 두지기(강원, 전라, 충청), 뒤도지(강원), 뒤디지(강원), 뒤제기(강원), 뒤지기(강원, 경남, 전남), 뒤치기(강원), 두데기(경기), 두도지(경기), 두두기(경기, 경북), 쥐더지(경기, 중국 길림성), 쥐도지(경기), 두데지(경남), 두디지(경남), 두이지기(경남), 뒤지(경남), 뒤지이(경남), 뒤징이(경남), 디디이(경남), 디지(경남), 데데기(경북), 두던지(경북), 두디기(경북, 충청), 뒤데기(경북, 전남), 뒤디기(경북), 뒤재기(경북), 뒤저구(경북), 뒤지구(경북), 디더구(경북), 디저구(경북), 뚜지비(경북), 뛰디기(경북), 뛰제기(경북), 뛰지-기(경북), 띠디기(경북), 띠지-기(경북), 뒤쥐(경상), 디디기(경상), 디제기(경상, 전남, 충남), 디지기(경상), 디지끼(경상, 중국 흑룡강성), 뚜지기(경상, 중국 흑룡강성), 지지기(경상, 전남), 두주기(전남), 뒤기(전남), 뒤더지(전남), 뒤쥐기(전남), 뒤쥥기(전남), 쥐데기(전남), 쥐제기(전남), 지제귀(전남), 두지(전라), 뚜두지(전라, 함남,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두두레기(전북, 충남), 두쥐기(전북), 뒤지개(전북), 늑다리(제주), 두더니(제주), 오로(제주), 오로콤(제주), 오루(제주), 오르(제주), (제주), 지다리(제주), 두더기(충남), 두더주(충남), 두들기(충남), 땅-두디지(충남), 땅-쥐(충남), 더더지(충북), 두두리기(충북), 두뒤(충북), 두디리기(충북), 땅-투두레기(충북), 주지기(충북), 쥐드기(충북), 쥐디기(충북), 뚜더지(충청, 중국 길림성), 디더디(평북, 중국 요령성), 디저지(평북, 중국 요령성), 두돼지(평안), 따뚜지(함경), 뚜뚜지(함경), 뛰더지(함남), 뚜두치(함북)
옛말
두디-쥐

역사 정보

두디쥐(16세기~17세기)>두더쥐(17세기~19세기)>두더지(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두더지’의 옛말인 ‘두디쥐’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두디쥐’는 “뒤지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두디-’와 명사 ‘쥐’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17세기에는 ‘두디쥐’에서 변한 ‘두더쥐’ 형태가 등장함에 따라 이 명사와 동사 ‘두디-’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고, 현대 국어에서는 ‘두더지’로 변화하여 명사 ‘쥐’와의 연관성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두디쥐, 두더쥐, 두더지
세기별 용례
16세기 : (두디쥐)
두디쥐 분 ≪1527 훈몽 상:10ㄴ
17세기 : (두디쥐, 두더쥐)
鼴鼠 두디쥐1613 동의 1:58ㄴ
鼢鼠 두더쥐1690 역해 하:33ㄱ
18세기 : (두더쥐)
鼢鼠 두더쥐1748 동해 하:39ㄴ
19세기 : (두더쥐)
두더쥐 (鼢鼠) ≪1810 몽유 상:17ㄱ

관용구·속담(3)

속담두더지는 나비가 못 되라는 법 있나
다른 사람이 상상하지 못하는 전혀 뜻밖의 상황도 일어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두더지 땅굴 파듯
일을 욕심스럽게 마구 해 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두더지 혼인 같다
두더지가 하늘, 일월, 구름, 바람, 석불에게 청혼하는 과정에서 천하에 높은 것이 자기보다 나은 것이 없다고 하면서 같은 두더지에게 청혼을 했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로, 분수에 넘치는 엉뚱한 희망을 갖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