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혿]
활용
홑이[호치], 홑을[호틀], 홑만[혼만]
품사
「명사」
「001」짝을 이루지 아니하거나 겹으로 되지 아니한 것.
이 두루마기는 홑으로 단을 접어 지은 것이다.

관련 어휘

참고 어휘
홑-
지역어(방언)
호붙(경북)
옛말
옺

역사 정보

옺(15세기~17세기)>호옷(16세기)>홋(16세기~19세기)>홏(17세기~19세기)>홑(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홑’의 옛말인 ‘옺’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옺’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옺’으로, 단독으로 실현될 때에는 8종성법에 따라 ‘옷’으로 나타난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도 ‘옷’으로 나타났을 것이나 문헌상으로는 그 예가 보이지 않는다. 16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ㅗ’에 영향을 받아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ㅗ’로 바뀐 ‘호옷’이 나타났으며, ‘호옷’이 축약된 ‘홋’도 16세기부터 함께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7세기에는 모음으로 결합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 말음 ‘ㅈ’이 ‘ㅊ’으로 바뀐 ‘홏’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17세기 이후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홏’,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이나 단독으로 실현될 때에는 ‘홋’으로 교체되었다. 20세기 이후 ‘홏’ 20세기 이후 ‘홏’이 ‘홑’으로 변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홏’이 ‘홑’으로 변한 것은 근대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한 구개음화를 의식하여 ‘홏’의 ‘ㅊ’을 ‘ㅌ’이 구개음화를 겪은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결과이다. 17세기~19세기 문헌에 나타난 ‘홋ㅊ’은 ‘홏’을 중철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옺, 옷, 호옷, 홋, 홏, 홋ㅊ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옺, 옷)
새 두 겨비오 닌 네 겨비니 오 말라 ≪1459 월석 25:56ㄴ
單 오지오 複 겨비라 ≪1461 능엄 8:15ㄴ
나 여희오  타 가니 그듸의 옷외 오진  아노라 ≪1481 두시-초 22:56ㄴ
옷 소리 聲이라 고 雜 소리 音이라 니 ≪1447 석상 21:19ㄴ-20ㄱ
各各 한 德이 조 權으로 옷 門 뵈요 큰 敎化 돕 젼니 ≪1463 법화 1:31ㄴ
16세기 : (호옷, 홋)
더운 적을 야 겨샤 호옷 츩뵈 오 모로매 밧긔 내여 닙더시다 ≪1518 번소 4:24ㄱ
더운 적을 當샤 츩뵈 옷 반시 表야 내더시다 ≪1588 소언 3:21ㄴ
단 ≪1576 신합 하:44ㄱ
17세기 : (옺, 옻, 홋, 홏, 홋ㅊ)
나 여희오  타 가니 그듸의 옷외 오진  아노라 ≪1632 두시-중 22:56ㄴ
내 眞實로 옷 고외 오치로다1632 두시-중 1:19ㄱ
儀禮士喪애 襲이 三稱이라 니 오시 홋과 겹이 즈믈 온 稱이니 ≪1632 가언 5:10ㄱ
단파 부러 활  군히  나 호로 벌고 ≪1612 연병 7ㄱ
단파 부러 수마다 츙통 논니와 밋 거 군의 승츙통 됴츙 노 사히 다 나셔 홋초로 펴고 ≪1612 연병 23ㄴ
18세기 : (홋, 홋ㅊ)
單的 挾的 겹 ≪1790 몽해 상:43ㄱ
봄에 닙 거슨 죠흔 프른 깁 흰 깁 초록 깁  주름 두루막이오 ≪1795 노언-중 하:47ㄴ
이 살 쟈근  펴고 됴츙 홋로 펴 진을 일워 호믈 히과댜 호미니라 ≪1787 병학 4ㄴ
19세기 : (홋, 홋ㅊ)
單 ≪1880 한불 114
홋로 單 ≪1880 한불 114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