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혼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다른 사람과 어울리거나 함께 있지 아니하고 그 사람 한 명만 있는 상태.
혼자라는 생각.
가족들과 헤어져 혼자서 지낸 지 10년이 넘는다.
그는 자기 혼자는 아무것도 못하는 나약한 인간이다.
용제 영감은 완전히 자기가 혼자가 된 것을 느꼈다.≪황순원, 카인의 후예≫
어둠이 무섭고 포성이 무섭고 전쟁과 적과 혼자라는 것이 무서웠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15세기)>오(15세기~16세기)>호(16세기)/온자(16세기)>호온자(16세기)>혼자(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혼자’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중엽에 ‘ㅸ’이 반모음 ‘ㅗ’[w]로 변화하여 ‘’는 ‘오’가 되었다. 16세기에 제1음절에 종성의 ‘ㄴ’이 첨가되고 ‘ㅿ’이 ‘ㅈ’으로 바뀐 ‘온자’가 나타났는데, 15세기의 ‘오’에서 제1음절의 ‘ㆍ’가 탈락한 ‘호’도 함께 나타난다. ‘온자’에서 제1음절의 ‘ㆍ’가 탈락하여 ‘호온자’로 변하였고, 다시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되어 ‘혼자’가 되었다. 15세기의 ‘’는 명사 ‘*’에 보조사 ‘’가 결합한 것인데, 반치음인 ‘ㅿ’ 앞에서 ‘ㄹ’이 탈락하여 ‘’가 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 오, 호, 온자, 호온자, 혼자
세기별 용례
15세기 : (, 오)
셔 긔벼를 알  나가샤 모딘 도 믈리시니다 스 軍馬 이길  믈리조치샤 모딘 도 자시니다 ≪1447 용가 35
뫼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 ≪1447 석상 3:19ㄴ
오 鶴 도라오 엇뎨 더듸니오 ≪1481 두시-초 14:31ㄱ
16세기 : (오, 호, 온자, 호온자, 혼자)
이 주변로 호미 업스며 行뎍을 오 일우미 업스며 ≪1518 번소 3:21ㄱ
그제 法이 嚴嚴니 사미 거스디 몯거늘 有文이 호 거상을 禮로  삼가더니 ≪1514 속삼 효:34ㄱ
아비와 과 아 다 避接나고 叔咸이 호셔 侍病며 ≪1514 속삼 효:22ㄱ
나옷 도라오면 내죵내 그듸로 온자 예 잇게 아니호리라 ≪1518 이륜-옥 36ㄱ
병긔 보야호로 퍼디여 아히 다 비졉나거 유곤니 호온자 이셔 나가디 아니커 ≪1518 이륜-옥 11ㄱ
가 울오 닐오 남지니 죽고 子息이 업스니 혼자 사라셔 므슴료 고 ≪1514 속삼 열:8ㄱ
 운이 뵈야호로  父母와 모 아 다 밧긔 나 의졉엿거늘 袞이 혼자 머므러 나가디 아니거늘 ≪1518 번소 9:73ㄱ
17세기 : (오아, 호온자, 혼자)
오아 안자셔 風霜  威嚴 이놋다 ≪1632 두시-중 1:55ㄱ
호온자 一面 ≪1657 어록-초 23ㄱ
오날 대쟝 인 고 모고 혼자 사라 어 치며 눈으로 셰상의 셔리오 ≪1617 동신속 충1:46ㄴ≫
18세기 : (혼자)
人主ㅣ 비록 明聖신 資질이 겨시나 能히 혼자 天下 다리디 못디라 반시 어딘 사을 야  다림을 도모니 ≪1737 어내 2:84ㄴ
내 밧바 네게 벗 지어 갈 겨를 업스니 네 혼자 보라 가라 ≪1765 청노 4:24ㄱ
獨自 혼자 ≪1775 역해-보 52ㄴ≫
19세기 : (혼자)
혼자 獨 나 혼자1880 한불 111
사 압희셔나 혼자 잇시나 갈치 션을 야 ≪1892 성직 29ㄱ

관용구·속담(4)

속담혼자 꿈꾸고 해몽한다
누구도 모르게 저 혼자서 결심하고 일을 처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혼자 사는 동네 면장이 구장
뛰어난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득세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 노릇 한다’ ‘범 없는 골에 토끼가 스승이라’ ‘사자 없는 산에 토끼가 왕[대장] 노릇 한다’ ‘호랑이 없는 동산에 토끼가 선생 노릇 한다
속담혼자서는 용빼는 재간이 없다
아무리 재주가 있어도 혼자서는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말.
속담혼자 안고 방아 찧는다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혼자 맡아서 처리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