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머기다발음 듣기]
활용
먹이어[머기어발음 듣기/머기여발음 듣기](먹여[머겨발음 듣기]), 먹이니[머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을】
「001」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여 뱃속에 들여보내게 하다. ‘먹다’의 사동사.
아기에게 밥을 먹이다.
친구에게 술을 먹이다.
딸에게 약을 먹이다.
부칠이 북을 가져다가 둥덩거리면서, 소리 잘하는 광언에게 술 부어 먹여 흥을 돋우기 시작했다.≪한승원, 해일≫

역사 정보

머기다(15세기~19세기)>먹이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먹이다'의 옛말인 '머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머기다'는 '먹다'에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머기다'를 분철 표기 한 '먹이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머기다, 먹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머기다)
王이 大愛道그 가샤 졋 머겨 기라 야시 ≪1447 석상 3:3ㄴ
16세기 : (머기다, 먹이다)
네 을 건뎌 내여다가  므레 거텨 리  디위  쉬어든 기들워 날회여 머기라1510년대 번노 상:24ㄱ
사이 술 먹여 울고 닐오 ≪1581 속삼-중 충:5ㄴ
17세기 : (머기다, 먹이다, 먹기다)
아 머기면 죵신토록 역을 아니 고 비록 도다도 젹니라 ≪1608 언두 상:5ㄱ
거믄 콩 봇가  술의 두 돈식 플어 먹이라1608 언태 39ㄱ
만일 니근 콩이어든 새 믈로 가 일어 먹기고17세기 마경 상:38ㄴ-39ㄱ
18세기 : (머기다, 먹이다)
귀 지지고 말 못 藥을 머기고1737 어내 2:59ㄴ
날 블러 술 먹이려 냐 ≪1721 오륜전비 1:41ㄱ
19세기 : (머기다, 먹이다)
식을 주겨  님금을 머기니 인졍이 아니니 ≪1832 십구 2:10ㄱ
혹 짓니도 잇고 혹 먹이니도 잇더니 ≪1852 태상 1:20ㄱ

관용구·속담(1)

관용구먹여 살리다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보아 주다.
  • 처자식을 먹여 살리다.
  • 전문학교를 나온 숙부보다 학식이 부족하고 쌀 도매상을 하면서 숙부와 우리 다섯 식구를 먹여 살려 온 아버지는…. ≪최일남, 숙부는 늑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