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하염지카다]
활용
하염직하여[하염지카여](하염직해[하염지캐]), 하염직하니[하염지카니]
품사
「형용사」
「001」할 만하다. 또는 할 만한 가치가 있다.
자네 같은 사람이 하염직한 동정인지 취미인지는 모르겠지만….≪염상섭, 삼대≫
가만히 앉아서 정신을 집중시켜 사색 같은 것이라도 하염직한 것이 아니냐고 스스로 책망은 하여 보나….≪채만식, 민족의 죄인≫

역사 정보

얌직다(15세기~17세기)>염직다(16세기)>염즉다(18세기~19세기)>하염직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하염직하다’의 옛말은 15세기 문헌에서 ‘얌직다’로 나타난다. 그러다가 16세기가 되면 모음 조화의 파괴에 따라 ‘염직다’도 출현한다. ‘얌직다’과 ‘염직다’ 모두 ‘-디’와 같이 장애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가 떨어진 ‘얌직디’, ‘염직디’와 같은 교체를 보인다. ‘얌직다’과 ‘염직다’ 가운데에서는 18세기 이후가 되면 ‘하염직다’만이 쓰이는 양상을 보인다. 17세기 이후에는 ‘하염즉다’의 형태도 보이기 시작하는데 ‘ㆍ’의 1단계 소실에 따른 ‘ㆍ’와 ‘ㅡ’의 음성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염다’와 같은 형태도 출현하게 되었다. 현대 국어는 ‘하염직하다’로 나타나는데, 이 형태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는 ‘염직다’를 이어받은 것일 가능성과 ‘염즉다’가 ‘ㅈ’ 아래에서 전설모음화 현상을 겪어 형성된 것일 가능성이 모두 있다. ‘얌직다’와 ‘염직다’는 현대 국어와 같이 형용사로 쓰이는 것도 15세기부터 보이지만 이보다는 접미사로서 쓰이는 것이 더 많이 관찰되는 특징을 보여 현대 국어와 차이가 있다.
이형태/이표기 얌직-, 얌직-, 염직-, 염직-, 염즉-, 염-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얌직-, 얌직)
佛子 得얌직 거슬 다 마 得과다 ≪1459 월석 13:37ㄱ
梵王 身으로 得度얌직니란1463 법화 7:74ㄴ
오히려  얌직디 몯거늘 ≪1482 금삼 1:34ㄴ
16세기 : (얌직-, 염직-, 염직-)
믈읫 맛이 구휼얌직 사이 잇거든 ≪1518 여씨-존 35ㄴ
그 례 히 아니 염직랴1518 번소 7:8ㄴ
士ㅣ 可히  言염직디 아니호 ≪1590 맹언 14:21ㄴ
17세기 : (얌직-, 염즉-)
 可히 使염즉다1613 시언 11:31ㄴ
防戍호 엇뎨 얌직리오1632 두시-중 13:38ㄱ
18세기 : (염즉-)
맏당이 行염즉거든1737 여사 2:36ㄱ
19세기 : (염즉-, 염-)
가히 급졔염즉며  가히 아을 나흠즉냐 거 ≪1852 태상 2:50ㄴ
녀인 즁에 너ㅣ 찬미염시고1865 주년 16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