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드리다발음 듣기]
활용
들이어[드리어발음 듣기/드리여발음 듣기](들여[드려발음 듣기]), 들이니[드리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에게 …을】
「001」어떤 일에 돈, 시간, 노력, 물자 따위를 쓰다. ‘들다’의 사동사.
아버지는 사업에 모든 노력을 들여서 지금과 같은 성공을 거두셨다.
책상에 앉아 시간을 많이 들인다고 공부를 잘하는 건 아니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자식들에게 엄청난 공을 들인다.
아내는 실내 장식에 많은 돈을 들였다.
그러나 아무리 병식과 계숙의 행동을 호의로 해석하려고 힘을 들여도 그럴수록 둘이서 붙잡고 밤을 새운 까닭을 이해할 수 없다.≪심훈, 영원의 미소≫
나는 그 사람한테 돈 한 푼 받은 일 없다. 내 돈 들여 그이 사업을 도와주면 줬지.≪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드리다(15세기~19세기)>들이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들이다’의 옛말인 ‘드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리다’는 “들어가다” 혹은 “들어오다”의 의미인 ‘들-’과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에서부터 ‘드리다’를 분철 표기 한 ‘들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드리다, 들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드리다, 들이다)
내 옷 니피고 내 冠 쓰이고 내 宮의 드려1447 석상 24:27ㄴ
마 命終 사 耳根애 들이거나 시혹 本識에 들이면1459 월석 21:103ㄴ
16세기 : (드리다, 들이다)
진니 븓드러 집븨 드리고 방 알셔 수흐 자며 안부를 아더라 ≪1518 이륜-옥 15ㄱ
만일 或 보내디 몯야시면 몬져 입에 들이디 아니더라 ≪1588 소언 6:71ㄱ
17세기 : (드리다, 들이다)
仲夏ㅣ 장 바미 뎌르니 軒檻을 여러 간 서호 드리노라1632 두시-중 10:20ㄱ
 풍뉴 사은 엇디 샹해 블러 들이디 아니신고 ≪1676 첩신-초 8:25ㄴ
18세기 : (드리다, 들이다)
좌우 편뉴들을 블러 이 다시 집의 드리지 말라 여 금고 ≪1774 삼역 1:10ㄱ-10ㄴ
의 털과 즙의  들이지 말고 ≪1796 경신 73ㄴ
19세기 : (드리다, 들이다)
모든 문도ㅣ 의심야 드리지 아니더니 ≪1865 주년 75ㄴ
마을 사이 들이지 안이문 그 예루살을 향여 미더라 ≪1887 성전 누가복음 9:5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