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푸주]
품사
「명사」
「001」예전에, 쇠고기나 돼지고기 따위의 고기를 끊어 팔던 가게.
각 고을에 삼백여 군데나 푸주가 있다 하여 매일 오백여 두의 소를 잡는 줄로 알고 있거니와….≪이문구, 오자룡≫

역사 정보

포주(19세기)>푸주(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푸주’는 15세기 문헌에서 ‘庖廚’로 나타난다. 중세 국어 한자음을 고려하면 이 말은 ‘포듀’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이 ‘포듀’로 읽혔음은 16세기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말이 근대 국어 시기에 구개음화를 겪어 ‘*포쥬>포주’가 된 이후, 19세기에는 ‘포’의 ‘ㅗ’가 고모음화되어 ‘ㅜ’가 되어 오늘날과 같은 ‘푸주’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말은 이전의 문헌에서는 ‘부엌’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의미의 ‘푸주’는 근대 국어 시기 이후에 한어로부터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형태/이표기 포듀, 포주, 푸주
세기별 용례
15세기 : (庖廚)
못 므레 政治요 보리로소니 브섭 예 庖廚의 머로 알리로라 ≪1481 두시-초 14:19ㄴ
16세기 : (포듀)
君子 庖廚(포듀)를 멀리 니이다 ≪1590 맹언 1:22ㄴ
17세기 : (포듀, 庖廚)
近年의 婦女ㅣ 驕倨야 다 즐겨 庖廚(포듀)의 드러가디 아니니 ≪1632 가언 2:5ㄴ
庖廚 飮食 달오 집 ≪1690 역해 상:16ㄴ
18세기 : (포듀)
일로  君子ㅣ庖廚(포듀) 멀리 니이다 ≪1749 맹율 1:24ㄴ
19세기 : (포주, 푸주)
포주 庖廚 ≪1895 국한 332
푸주 庖廚 ≪1895 국한 33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