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빼앋따발음 듣기]
활용
빼앗아[빼아사발음 듣기], 빼앗으니[빼아스니발음 듣기], 빼앗는[빼안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4」남의 생각이나 마음을 사로잡다.
그 아가씨는 모든 남성의 마음을 빼앗아 버렸다.
아들의 넋도 혼도 빼앗아 간 좌익 사상이라는 것이 낙안댁에게는 꼭 불지옥 귀신 같게만 여겨지는 것이었다.≪조정래, 태백산맥≫

역사 정보

앗다/앗다(19세기)/빼앗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빼앗다’의 옛말인 ‘앗다’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빼다, 뽑다”의 뜻인 ‘-’와 ‘빼앗다’의 뜻인 ‘앗-’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까지는 “빼앗다”의 뜻으로 ‘앗다’를 써 오다가 19세기부터 ‘앗다’가 쓰인 것으로 보인다. ‘앗다’는 ‘앗다’의 이표기로서 근대 국어 시기 ‘ㆍ’의 혼란으로 ‘ㆍ’와 ‘ㅏ’가 혼동되는 표기가 자주 보이는데 ‘앗다’도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19세기에는 ‘빼앗다’도 함께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앗다, 앗다, 빼앗다, 다
세기별 용례
19세기 : (앗다, 앗다, 빼앗다, 다)
앗다 다1880 한불 296
쥬의 셩령을 내게셔 앗지 마쇼셔 ≪1898시편촬요 051:012절≫
억지로 구며 침노기 됴하고 앗기 됴하며 ≪1852 태상 대문해:7ㄱ
이 락이  번 에 나면 온갓 세복이 다 능히 빼앗지 못리라 ≪1892 성직 9:35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