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르다

- 활용
- 잘라[잘라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동강을 내거나 끊어 내다.
- 생선을 자르다.
- 머리를 짧게 자르다.
- 그는 무를 자르듯이 나와의 인연을 끊었다.
- 아직도 상투를 자르느니 목을 자르겠다고 벼르는 고루한 유생이 판을 치고 있으니….≪박완서, 미망≫
- 대답은 엿가락 자르듯 탁탁 잘하지만 돌아서면 그만이야.≪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잘르다(강원, 경기, 경남, 전북, 제주, 충청, 황해), 짤르다(강원, 경기, 경상, 전라, 충청, 평남, 함경), 짤크다(강원), 짱크다(강원, 전남), 까리다(경남), 깔기다(경남), 깔리다(경남), 똥-가리다(경남), 자리다(경남), 짱글다(경남), 통-가리다(경남), 동-가리다(경북), 동갈리다(경북), 짤리다(경북), 짜리다(경상, 전라), 짱그르다(전남), 촐-가리다(전남), 짱그다(전라), 가끄다(제주), 그치다(제주), 기치다(제주), 끈치다(제주), 베질르다(제주), 잙다(함경), 짥다(함경), 잘그다(함남)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르다(18세기)>자르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르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는데 ‘다’도 이 변화를 겪어 ‘르다’가 되어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르다’도 이 변화를 겪어 ‘자르다’가 되어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쟈르다, 자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