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여위다

- 활용
- 여위어[여위어


- 품사
- 「동사」
- 「001」몸의 살이 빠져 파리하게 되다.
- 여윈 손.
- 오래 앓아서인지 얼굴은 홀쭉하게 여위고 두 눈만 퀭하였다.
- 병수는 여위어, 얼굴은 주름투성이였고 한층 더 작아 보였다.≪박경리, 토지≫
- 팔에 안긴 채 잠이 든 소년은 두 다리가 너무 여위어 흡사 비틀어진 북어를 연상시킨다.≪홍성원, 육이오≫
- 형은 쥐색 양복을 아래위로 걸치고 빨간 넥타이를 매고 있었으나 얼굴은 다소 여위었고 어딘가 초조한 빛을 감추지 못하고 있었다.≪김용성, 도둑 일기≫
- 고개를 든 이종구는 안 씨의 얼굴을 쳐다보았다. 두 볼이 약간 여윈 듯 들어가 있어서 더 길어 보이는 얼굴이다.≪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야위다
- 지역어(방언)
- 에비다(강원), 여비다(강원, 함경), 예비다(강원, 경상, 전남, 함경), 예우다(강원), 패래다(강원, 평북), 여이다(전남), 페로와-지다(전남), 못-되다(전라), 척-하다(평북), 예배다(함남)
역사 정보
여위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여위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여위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여위다, 여오다, 여외다, 여워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속담여윈 강아지 똥 탐한다
- 곤궁해진 사람이 음식을 몹시 탐한다는 말.
- 속담여윈 개 겨섬 뒤지듯
- 무엇을 극성스럽게 뒤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여윈 당나귀 귀 베고 무엇 베면 남을 것이 없다
- 원래 넉넉하지 못한 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을 한두 개 떼고 나면 남을 것이 없다는 말.
- 속담여윈 말이 짐 탐한다
- 몸이 약한 사람이 감당하지도 못하면서 남보다 오히려 많이 가지려고 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여윈 소 순대가 크다
- 여윈 짐승일수록 많이 먹는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