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뜯따발음 듣기]
활용
뜯어[뜨더발음 듣기], 뜯으니[뜨드니발음 듣기], 뜯는[뜬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붙거나 닫힌 것을 떼거나 찢거나 하다.
벽지를 뜯다.
편지봉투를 뜯었다.
자물쇠를 뜯고 방 안으로 들어갔다.
나는 다리에 붙였던 파스를 뜯었다.
문집은 당황하여 떨리는 손으로 반창고를 뜯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지난해에 발랐던 한지를 뜯지 않고 그 위에다 그냥 창호지를 덧붙인 들창문은 햇빛을 받아….≪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다(17세기~19세기)>뜯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뜯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ㅳ’이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뜯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였던 당시의 표기 경향에 따라 나타난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다, 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가 두드리며  우러 손 미리 고 다시곰 것주거 ≪1459 월석 10:24ㄱ
내 爲야 됴 菜蔬 더 이바도리라 ≪1481 두시-초 20:51ㄴ
16세기 : (다)
각각 가 더 나 아쳐려 호믈 도과 원슈티 너기니 ≪1518 번소 7:41ㄴ-42ㄱ
17세기 : (다, 다)
섯애 퓐 화 더 음간야  라 달힌 에 라 ≪1608 언두 상:7ㄱ
剮了  더 죽이다 ≪1690 역해 상:67ㄴ
18세기 : (다)
啃靑 풀 더 먹다 ≪1748 동해 하:37ㄴ
19세기 : (다, 다)
셔을 더 휴지로 지 말게 라 ≪1882 경석 9ㄴ
념려컨대 제가 와 치 내 령혼을 져 고 구원 이가 업겟이다 ≪1898 시편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