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뜯따

- 활용
- 뜯어[뜨더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붙거나 닫힌 것을 떼거나 찢거나 하다.
- 벽지를 뜯다.
- 편지봉투를 뜯었다.
- 자물쇠를 뜯고 방 안으로 들어갔다.
- 나는 다리에 붙였던 파스를 뜯었다.
- 문집은 당황하여 떨리는 손으로 반창고를 뜯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 지난해에 발랐던 한지를 뜯지 않고 그 위에다 그냥 창호지를 덧붙인 들창문은 햇빛을 받아….≪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튿다(경기, 제주), 띧다(전남), 톧다(제주)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다(17세기~19세기)>뜯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뜯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ㅳ’이 ‘ㅼ’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다’로 나타난다.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20세기 이후에는 ‘뜯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였던 당시의 표기 경향에 따라 나타난 형태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