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떼ː다발음 듣기]
활용
떼어[떼어](떼[떼ː발음 듣기]), 떼니[떼ː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서 …을】
「001」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벽에서 벽보를 떼다.
옷에서 상표를 떼다.
입술에서 술잔을 떼다.
문에서 문짝을 떼다.
상덕은 건반에서 손을 떼면서 서둘러 일어섰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그 집을 발견하자마자 나는 블라우스 깃에 달린 배지를 떼어서 핸드백 속의 작은 지갑 속에 넣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히다(15세기)>이다(16세기~17세기)>이다(17세기~19세기)>이다(18세기~19세기)>다(19세기)>떼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떼다’의 옛말인 ‘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한 ‘이다’로 나타난다. ‘ㅳ’을 ‘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이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ㅏ, ㅓ’를 가진 단어는 후행하는 ‘ㅣ’모음의 영향으로 ‘ㆎ, ㅐ, ㅔ’가 되는 ‘ㅣ’모음 역행 동화를 겪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이다’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이다’가 줄어든 형태인 ‘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떼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히다’는 ‘히다’의 ‘ㅳ’을 ‘ㅼ’으로 표기한 것이며, ‘히다’는 ‘히다’의 ‘ㅓ’가 ‘ㅔ’로 변화한 것이다. 19세기의 ‘떼히다’는 ‘히다’의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히다, 이다, 히다, 이다, 히다, 이다, 다, 떼히다, 떼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히다)
브튼  히며 인  그르며 ≪1482 남명 상:72ㄴ
16세기 : (이다)
글워레  브티며 이며1518 번소 7:29ㄴ
17세기 : (이다, 히다, 이다, 히다)
 벼을 이고 心喪 三 年을 申라 ≪1632 가언 6:34ㄴ
보람 히다 拆號 ≪1669 어록-개 16ㄱ
노흘 제 죠 이고 심에 블을 브티라 ≪1685 화포 1ㄴ
쟉약  돈 산사육 션퇴 머리 발 개 혀 리고 ≪17세기 두경 22ㄱ-22ㄴ
18세기 : (히다, 이다, 히다, 이다)
피봉을 히니 곳 심뎡연이라 ≪1756 천의 4:47ㄴ
가을의 밋쳐 과방 일 에 쥬길이 과연 왼 고을의 읏듬니라 ≪1796 경신 53ㄱ
 봉 글로  주오시니 챵집이 나아가 밧와 혀 보오니 ≪1756 천의 1:4ㄱ
골육 여 흣터지게 말며 ≪1796 경신 61ㄱ
19세기 : (히다, 이다, 히다, 이다, 다, 떼히다, 떼이다)
이믜 비봉을 히니 로 인 글장은 이의 소장의 글이오 ≪1852 태상 3:35ㄴ
이믜 그 벼을 이고1852 태상 4:48ㄱ
밥 솟츨 혀 상 아 감초고 이불노 덥흐니 ≪1852 태상 4:25ㄴ
 드려 어 야 함지에 붓고 ≪1869 규합 15ㄴ
크게 놀라 랴 나 단단여 풀 길이 업지라 ≪1852 태상 5:22ㄴ
예수의 말에 텬쥬의 합신 바 사이 떼히지 말나 시니 ≪1882 성절 81ㄱ
을 떼여 탕에 잠거 ≪1894 훈아 28ㄴ

다중 매체 정보(1)

  • 떼다
    떼다

    떼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