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떼ː다

- 활용
- 떼어[떼어](떼[떼ː


- 품사/문형
- 「동사」 【…에서 …을】
- 「001」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 벽에서 벽보를 떼다.
- 옷에서 상표를 떼다.
- 입술에서 술잔을 떼다.
- 문에서 문짝을 떼다.
- 상덕은 건반에서 손을 떼면서 서둘러 일어섰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 그 집을 발견하자마자 나는 블라우스 깃에 달린 배지를 떼어서 핸드백 속의 작은 지갑 속에 넣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히다(15세기)>이다(16세기~17세기)>이다(17세기~19세기)>이다(18세기~19세기)>다(19세기)>떼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떼다’의 옛말인 ‘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에는 모음 사이에서 ‘ㅎ’이 탈락한 ‘이다’로 나타난다. ‘ㅳ’을 ‘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17세기에는 ‘이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단모음 ‘ㆍ, ㅏ, ㅓ’를 가진 단어는 후행하는 ‘ㅣ’모음의 영향으로 ‘ㆎ, ㅐ, ㅔ’가 되는 ‘ㅣ’모음 역행 동화를 겪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이다’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이다’가 줄어든 형태인 ‘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떼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히다’는 ‘히다’의 ‘ㅳ’을 ‘ㅼ’으로 표기한 것이며, ‘히다’는 ‘히다’의 ‘ㅓ’가 ‘ㅔ’로 변화한 것이다. 19세기의 ‘떼히다’는 ‘히다’의 ‘ㅼ’을 ‘ㄸ’으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히다, 이다, 히다, 이다, 히다, 이다, 다, 떼히다, 떼이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