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따르다

- 활용
- 따라[따라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다른 사람이나 동물의 뒤에서, 그가 가는 대로 같이 가다.
- 경찰이 범인의 뒤를 따르다.
- 어머니를 따라 시장 구경을 갔다.
- 집을 나올 때에 부인은 중문까지 따라 나오면서 그를 바래주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 그는 죽으러 가는 사람처럼 납덩이보다 더 무거워진 몸을 겨우 가누고, 끌려가듯 마님을 따라 후원으로 갔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동궁은 온종일 깊은 번뇌에 빠졌던 무거운 머리를 들고 내시를 따라 시강원으로 나아갔다.≪박종화, 금삼의 피≫
- 소작인들은 순사들을 따라 제자리에서 해바라기처럼 한 바퀴 돌아 제 방향으로 돌아왔다.≪송기숙, 암태도≫
- 구장도 오늘은 면사무소까지 나갈 모양으로 말없이 일행의 뒤를 따라 걷고 있었다.≪하근찬, 야호≫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오다(16세기~18세기)>로다(16세기~18세기)>로다(18세기~19세기)>르다(18세기~19세기)>르다(19세기)>따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따르다’의 옛말인 ‘오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다’는 “따르다”의 의미인 ‘-’에 접미사 ‘-오-’가 결합된 것이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면서 연철 표기 되어 ‘로다’로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ㅳ’을 ‘ㅼ’으로 표기하게 되면서 18세기에는 ‘로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로다’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ㅡ’로 변화하여 ‘르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는 ‘르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게 됨에 따라 ‘따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오다’는 ‘로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며, ‘로다’는 ‘로다’의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하면서 ‘ㆍ’와 ‘ㅡ’를 혼동한 표기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는데, 19세기의 ‘다’는 이러한 경향 때문에 ‘르다’의 제2음절 모음 ‘ㅡ’를 ‘ㆍ’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오다, 로다, 로다, 르다, 오다, 로다, 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