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래다]
활용
가래어[가래어](가래[가래발음 듣기]), 가래니[가래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맞서서 옳고 그름을 따지다.
철모르는 어린이들을 데리고 가래 보았자 무슨 소용이 있겠나?
그 사람 성정이 너무 우악스러워서 우리도 잘 가래지 못하오.≪홍명희, 임꺽정≫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갈개다(평안)

역사 정보

외다(15세기~16세기)>래다(17세기~18세기)>가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래다’의 옛말인 ‘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에 제1음절의 종성 ‘ㄹ’이 제2음절의 초성으로 연철 표기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제2음절의 초성 ‘ㅇ’은 유성 후두 마찰음이었음을 알 수 있다. 16세기 이후에 유성 후두 마찰음이 사라지면서 제1음절의 종성 ‘ㄹ’이 제2음절의 초성으로 연철 표기 되었다. 또한 이중 모음 ‘ㅚ’가 ‘ㅐ’로 변하면서 ‘외-’는 17세기에 ‘래-’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가래-’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외다, 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외다)
狄人ㅅ 서리예 가샤 狄人이 외어늘 岐山 올샴도 하 디시니 ≪1447 용가 4
16세기 : (외다)
외니 잇닷 마리 니려  學長이 외 學生을다가 스님 고 그리 텨도 다함 저티 아닌니라 ≪1510년대 번노 상:7ㄱ-7ㄴ
17세기 : (외다, 래다)
蠻溪옛 豪族이 져기 뮈여 외면 世世로 刺史 對야 時로 來朝티 아니니라 ≪1632 두시-중 4:27ㄴ
그 듕에 래니 잇냐 그리어니 래니 잇니라 ≪1670 노언 상:6ㄴ
18세기 : (래다)
이 즁에  래 이 잇냐 올흐니 그 즁에  래 이 잇니 ≪1795 노언-중 상:6ㄴ
官府ㅣ 이 랠 곳이 아니라 ≪1721 오륜전비 1:56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