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듣따발음 듣기]
활용
들어[드러발음 듣기], 들으니[드르니발음 듣기], 듣는[든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사람이나 동물이 소리를 감각 기관을 통해 알아차리다.
음악을 듣다.
당신의 목소리를 듣고 싶습니다.
그의 연주는 듣기에 매우 괴로웠다.
비명 소리를 듣고 밖으로 나갔지만 아무도 없었다.
잠결에 빗소리를 들은 것 같다.
익삼 씨의 다급한 외침을 듣고서야 종술은 자기가 상대방의 멱살을 움켜쥐고 있음을 깨달았다.≪윤흥길, 완장≫
할머니가 뒤에서 황겁히 부르는 소리를 그는 통 듣지 못하였다.≪한설야, 탑≫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딛다(경기), 들다(함경)

역사 정보

듣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듣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듣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듣-’,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들-’로 나타나는 ㄷ 불규칙 용언이다. ‘듣-’은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경우 ‘ㄴ’에 동화되어 ‘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16세기 이후 보이는 ‘듯-’은 종성 ‘ㄷ’이 ‘ㅅ’으로도 표기되었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듣-, 들-, 든-, 듯-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듣-, 들-, 든-)
東海옛 도기 智勇 니기 아 一聲白螺 듣고 놀라니 ≪1447 용가 59
 시러 法 드러 마 法 듣고1463 법화 3:20ㄴ
五月에 엇브시  야 소릴 든논 다라 ≪1481 두시-초 6:40ㄴ
16세기 : (듣-, 들-, 든-, 듯-)
혹 글 의론며 혹 거믄고 듣다가1518 번소 9:102ㄴ
王의 키 慾시 바 可히 시러곰 들으니잇가1590 맹언 1:28ㄱ
일  구지람 든니라1510년대 번노 상:37ㄴ
뎡시 싀골셔 긔별 듯고 울으믈 긋치디 아니니 ≪1581 속삼-중 열:27ㄱ
17세기 : (듣-, 들-, 든-, 듯-)
유시 부음 듣고 즉시 목욕 복고 다락긔 올라 려뎌 주그니 ≪1617 동신속 열2:45ㄴ≫
젼브터 드르니 병 드르시다 듯고 념녀더니 ≪1676 첩신-초 3:2ㄴ
슬피 셜워 우니 든 쟤 탄복더라 ≪1617 동신속 열1:44ㄴ≫
18세기 : (듣-, 들-, 듯-)
예긔 나실 吉日은 群群에 긔별을 듣고 뎡 ≪1748 첩신-개 6:5ㄴ-6ㄱ
그 거상애 풍뉴 드르며 밋 嫁聚 나니 나라희 졍 法이 이실 ≪1737 어내 1:57ㄴ
들으니 婦人 지고 검은 쟤 이 알음답다 니 ≪1737 여사 4:27ㄴ
내 귀먹어 듯디 못리로다 ≪1721 오륜전비 3:35ㄴ
19세기 : (들-, 듯-)
남의 챡 것 잇스믈 드르면 음에 의심야 밋지 안니며 ≪1880 삼성 23ㄱ
라마에셔 울며 통곡 소 들으니라1887 성전 마태복음 2:18
처음의 풍환이 샹군의 손 됴히 너김을 듯고 오 ≪1832 십구 2:32ㄴ

관용구·속담(13)

관용구듣다 처음[첫 소리]
지금까지 들어 보지 못하던 내용의 말을 처음으로 듣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 그런 희한한 일은 듣다 처음이야.
  • 그런 말은 내 듣다 첫 소리이다.
관용구듣다 초문
듣다 처음[첫 소리]’의 북한 관용구.
관용구듣도 보도 못하다
들은 적도 본 적도 없어 전혀 알지 못하다.
  • 그 일에 대해서는 듣도 보도 못해서 아는 바가 없습니다.
관용구들었다 봤다 하고
어떤 일에 대하여 이미 듣기도 하고 보기도 한 것으로 친다는 뜻으로, 이야기되는 내용을 벌써부터 다 알고 시인하는 경우에 이르는 말.
속담듣기 좋은 꽃노래도 한두 번이지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여러 번 되풀이하여 대하게 되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듣기 좋은 이야기도 늘 들으면 싫다’ ‘듣기 좋은 육자배기도 한두 번’ ‘맛있는 음식도 늘 먹으면 싫다
속담듣기 좋은 육자배기도 한두 번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여러 번 되풀이하여 대하게 되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듣기 좋은 이야기도 늘 들으면 싫다’ ‘듣기 좋은 꽃노래도 한두 번이지’ ‘맛있는 음식도 늘 먹으면 싫다
속담듣기 좋은 이야기도 늘 들으면 싫다
아무리 좋은 일이라도 여러 번 되풀이하여 대하게 되면 싫어진다는 말. <동의 속담> ‘듣기 좋은 꽃노래도 한두 번이지’ ‘듣기 좋은 육자배기도 한두 번’ ‘맛있는 음식도 늘 먹으면 싫다
속담듣는 것이 보는 것만 못하다
듣기만 하는 것보다는 직접 보는 것이 확실하다는 말. <동의 속담>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백문이 불여일견(不如一見)’ ‘열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속담들으면 병이요 안 들으면 약이다
들어서 걱정될 일은 듣지 않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말.
속담들은 귀는 천 년이요 한 입은 사흘이라
모진 말을 한 사람은 쉽게 잊고 말지만 그 말을 들은 사람은 쉽게 잊지 못하고 두고두고 상처를 받는다는 말.
속담들은 말 들은 데 버리고 본 말 본 데 버려라
말을 옮기지 말라는 말.
속담들은 풍월 얻은 문자
정식으로 배워서 얻은 지식이 아니라 귓결에 듣고서 문자 쓰는 사람을 비웃는 말.
속담들을 이 짐작
옆에서 아무리 감언이설로 말을 늘어놓아도 듣는 사람은 자기 나름대로 짐작을 할 것이니 말한 그대로만 될 리는 없다는 말. <동의 속담> ‘열 사람이 백 말을 하여도 들을 이 짐작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