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알ː다

- 활용
- 알아[아라



- 품사/문형
- 「동사」 【…을】【-ㄴ지를】【-음을】
- 「001」((‘…을’ 대신에 ‘…에 대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교육이나 경험, 사고 행위를 통하여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갖추다.
- 이 문제는 공식을 알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 단어의 뜻을 알아야 그 문장의 뜻을 이해할 수 있다.
- 그는 서울 지리를 잘 알고 있다.
- 편지를 통해 그의 사정을 대강 안다.
- 적의 동태를 알면 싸움에서 쉽게 승리할 수 있다.
- 현관에 다 와서야 차 안에 열쇠를 두고 왔다는 것을 알았다.
- 그도 인생에 대하여 알 만한 나이가 되었다.
- 사람은 많이 알면 알수록 겸손해져야 한다.
- 제가 그쪽 지리에 대해 조금 압니다.
- 여행을 하려면 그곳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 나는 이제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잘 안다.
-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경험도 많이 쌓고 공부도 열심히 해야 한다.
- 어머니는 이미 내가 어제 그 일을 했음을 알고 계셨다.
- 그는 내가 어제 집에 돌아왔음을 알고 찾아왔다.
- 그녀는 까치이모의 행방을 알 수 없게 되면 곧장 연곡사로 올라가서 설월스님을 만날 생각이었다.≪문순태, 피아골≫
- 비로소 조선에 왜적이 쳐들어와서 큰 전쟁이 일어난 줄을 알게 되었다.≪박종화, 임진왜란≫
- 김범우는 도자기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면서도 그것이 값비싼 것인지 모른다는 생각과 함께 그쪽으로 다가갔다.≪조정래, 태백산맥≫
관련 어휘
- 반대말
- 모르다
역사 정보
알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알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알다’는 활용할 때 ‘ㄹ’이 탈락되는데 현대 국어에서는 ‘알-’ 뒤에 ‘-(으)ㄴ/ㅂ/ㅅ’, ‘-(으)오’, ‘-(으)ㄹ’이 올 경우에 ‘ㄹ’이 탈락된다. 이 ‘ㄹ’ 탈락은 중세 국어, 근대 국어 시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다만 중세 국어 시기에는 ‘알-’ 뒤에 ‘ㄷ, ㅈ’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에도 ‘ㄹ’이 탈락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알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7)
- 관용구알게 모르게
-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 그녀는 이삿짐을 나르면서 알게 모르게 멍이 많이 들었다.
- 관용구알 게 뭐야[뭐나]
- 어떻게 되든 상관이 없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알 게 뭐야, 내가 먹을 것도 아닌데.
- 관용구알 게 뭐예요
- ‘알 게 뭐야[뭐나]’보다 상대방을 높여 이르는 말.
- 당신이 중학생인지 고등학생인지 내가 알 게 뭐예요.
- 관용구알 게 뭡니까
- ‘알 게 뭐야[뭐나]’보다 상대방을 매우 높여 이르는 말.
- 그게 어떻게 우리 집에 들어와 있는지 내가 알 게 뭡니까?
- 관용구알다가도 모르다
- 어떤 일이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말.
- 역시, 여자는 알다가도 모를 존재로군.
- 속담아는 걸 보니 소강절의 똥구멍에 움막 짓고 살았겠다
- 사물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것저것 아는 체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안다니 똥파리’ ‘알기는 오뉴월 똥파리로군’
- 속담아는 것이 병[탈]
- 정확하지 못하거나 분명하지 않은 지식은 오히려 걱정거리가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속담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 잘 아는 일이라도 세심하게 주의를 하라는 말. <동의 속담>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얕은 내도 깊게 건너라’
- 속담아는 놈 당하지 못한다
- 내막을 잘 알고 덤비는 상대는 이길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속담아는 놈 붙들어 매듯
- 물건을 느슨하게 묶어 두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아는 도둑놈 묶듯’
- 속담아는 놈이 도둑놈
- 도적질도 그 형편을 잘 아는 사람이 한다는 뜻으로, 잘 아는 사람이 속임수를 써서 이쪽 편을 해롭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아는 데는 똥파리
- 똥파리가 용케도 음식이 있는 곳을 알고 달려들듯이, 무슨 일을 재빠르게 알아 가지고 시끄럽게 구는 사람을 비꼬는 말.
- 속담아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 잘되리라고 믿고 있던 일이 어긋나거나 믿고 있던 사람이 배반하여 오히려 해를 입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낯익은 도끼에 발등 찍힌다’ ‘믿던 발에 돌 찍힌다’ ‘믿었던 돌에 발부리 채었다’
- 속담아는 도둑놈 묶듯
- 물건을 느슨하게 묶어 두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아는 놈 붙들어 매듯’
- 속담아는 법이 모진 바람벽 뚫고 나온 중방 밑 귀뚜라미라
- 세상일에 대하여 모르는 것 없이 다 알고 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아는 체하지 말고 모르는 체하지 말라
- 사람은 언제나 겸손하고 솔직하여야 한다는 말.
- 속담안다니 똥파리
- 사물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것저것 아는 체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아는 걸 보니 소강절의 똥구멍에 움막 짓고 살았겠다’ ‘알기는 오뉴월 똥파리로군’
- 속담알고도 죽는 해수병이라
- 결과가 안 좋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그 일을 겪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알고 보니 수원 나그네
- 누군가 싶었는데 알고 보니 그 전부터 잘 아는 수원 나그네였다는 뜻으로, 처음엔 누군지 몰라보았으나 깨달아 알고 보니 알던 사람이라는 말. <동의 속담> ‘다시 보니 수원 나그네’ ‘인제 보니 수원 나그네’
- 속담알고 있는 일일수록 더욱 명치에 가둬야 한다
- 말과 행동에 신중을 기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알고 한 번 모르고 한 번
- 알고서 한 번 할 수 있는 일이고 모르거나 속아서 한 번 할 수 있는 일이란 뜻으로, 절대로 다시는 할 수 없는 일임을 이르는 말.
- 속담알기는 오뉴월 똥파리로군
- 사물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것저것 아는 체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안다니 똥파리’ ‘아는 걸 보니 소강절의 똥구멍에 움막 짓고 살았겠다’
- 속담알기는 채쟁이 송곳 끝 같다
- 체를 맬 때 직업적으로 체를 매는 사람의 송곳 끝이 어김이 없다는 데서, 어떤 일이든지 잘 알아맞히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알기는 칠월 귀뚜라미
- 온갖 일을 다 아는 체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알기는 태주 같다’
- 속담알기는 태주 같다
- 온갖 일을 다 아는 체하는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알기는 칠월 귀뚜라미’
- 속담알던 정 모르던 정 없다
- 공적인 일을 할 때에는 사적인 정이 없이 냉정하게 처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속담알아야 면장을 하지
- 어떤 일이든 그 일을 하려면 그것에 관련된 학식이나 실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