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돌ː다

- 활용
- 돌아[도라



- 품사
- 「동사」
- 「001」물체가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다.
- 바퀴가 돌다.
- 물레방아가 돌다.
- 팽이가 잘도 돈다.
역사 정보
돌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돌-’은 중세 국어에서 ‘ㄴ, ㄷ, ㅿ’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나며, 근대 국어 이후 ‘ㄴ, ㄷ, ㅈ,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난다. 현재에는 ‘ㄴ,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만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돌-, 도-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돌다(가) 보아도 마름[물방아]
- 물 위에 떠돌아다니는 마름은 아무리 떠돌아도 마름이라는 뜻으로, 별다른 진보가 없이 같은 일만 되풀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