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돌ː다발음 듣기]
활용
돌아[도라발음 듣기], 도니[도ː니발음 듣기], 도오[도ː오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1」물체가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면서 움직이다.
바퀴가 돌다.
물레방아가 돌다.
팽이가 잘도 돈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굴다(강원)
옛말
에다

역사 정보

돌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돌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돌-’은 중세 국어에서 ‘ㄴ, ㄷ, ㅿ’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나며, 근대 국어 이후 ‘ㄴ, ㄷ, ㅈ,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난다. 현재에는 ‘ㄴ,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만 종성 ‘ㄹ’이 탈락하여 ‘도-’로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돌-, 도-
세기별 용례
15세기 : (돌-/도-)
須達이 禮 몰라  번도 아니 도라 淨居天이 쵸려 니 ≪1447 월곡 55ㄱ
모 弟子 리고 올 녀그로 닐굽  도고1447 석상 23:43ㄱ
그 술위 절로 그우러 아니한 예 天下 다 도시니1459 월석 1:26ㄱ
生과 滅왜 서르 니 난 거시 죽고 주근 거시 나 生生死死ㅣ 블 도 輪 야 ≪1461 능엄 3:66ㄴ
그 아기  소배 이셔 도디 몯  허튀 몬져 나니 ≪1466 구방 하:81ㄴ
16세기 : (돌-/도-)
六經을 모로매 골회 도 시 다시곰 구여 알면 진실로 마시  업스리니 ≪1518 번소 8:33ㄱ
두루 돌오매 規에 맛게 고 모 것거 돌오매 矩에 맛게 며 ≪1588 소언 3:18ㄱ
17세기 : (돌-/도-)
왼 녁크로 머리 도니 나오 올 녁크로 머리 도니 간나라 ≪1608 언태 10ㄴ
머리과 치 몬져 믈이 돌고 지 보야흐로 붇니 길니라 ≪1608 언두 상:30ㄴ
18세기 : (돌-/도-)
孔子의 聖으로써도 수레 자최 天下의 도샤 春秋 지으매 긋티시고 ≪1756 어훈 6ㄴ
이  긔운이 슌히 도지 못시 연괴라 ≪1777 명의 권수상:58ㄱ
乙이 믈레 도야 얼픗  려셔고 ≪1790 무예 56ㄴ
19세기 : (돌-/도-)
그 고동이 드러나게 돌며 쇽으로 도 것과 물의 기 쳔심과 셕탄  다 대샹부동니 ≪1883 이언 2:8ㄴ
온긔 溫氣 온긔 돌다1880 한불 54

관용구·속담(1)

속담돌다(가) 보아도 마름[물방아]
물 위에 떠돌아다니는 마름은 아무리 떠돌아도 마름이라는 뜻으로, 별다른 진보가 없이 같은 일만 되풀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