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라나다

- 활용
- 달아나[다라나


- 품사/문형
- 「동사」 【…으로】
- 「001」빨리 내닫다.
- 우리 앞에 가던 차는 큰길 쪽으로 벌써 저만치 달아났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라나다(15세기~19세기)>다라나다(18세기~19세기)>달아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아나다'의 옛말인 '라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라나다'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한 '라'와 "나오다"의 의미인 '나다'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 중반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함에 따라 18세기에는 '다라나다'가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다라나다'를 분철 표기 한 '달아나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아나다'는 '라나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ᆞ'가 소멸되어 다른 모음으로 바뀌는 변화에 따라 'ᆞ'의 표기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원래 'ᆞ'가 아니었던 모음을 'ᆞ'로 적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의 '아다'와 '다라다'처럼 '나'를 ''로 적는 형태가 나타났다. |
---|---|
이형태/이표기 | 라나다, 아나다, 다라나다, 다라다, 달아나다, 아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달아나는 노루 보고 얻은 토끼를 놓았다
-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다가 도리어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닫는 사슴을 보고 얻은 토끼를 잃는다’
- 속담달아나면 이밥 준다
- 위험이 닥쳐 몸을 피해야 할 때에는 싸우거나 다른 계책을 세우기보다 우선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동의 속담> ‘삼십육계 줄행랑이 제일[으뜸]’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