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다라나다발음 듣기]
활용
달아나[다라나발음 듣기], 달아나니[다라나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으로】
「001」빨리 내닫다.
우리 앞에 가던 차는 큰길 쪽으로 벌써 저만치 달아났다.

역사 정보

라나다(15세기~19세기)>다라나다(18세기~19세기)>달아나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달아나다'의 옛말인 '라나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라나다'는 "달리다"의 의미인 '-'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한 '라'와 "나오다"의 의미인 '나다'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 중반 이후 제1음절의 'ᆞ'가 'ᅡ'로 변화함에 따라 18세기에는 '다라나다'가 나타난다. 19세기에는 '다라나다'를 분철 표기 한 '달아나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아나다'는 '라나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ᆞ'가 소멸되어 다른 모음으로 바뀌는 변화에 따라 'ᆞ'의 표기가 혼란스러웠기 때문에 원래 'ᆞ'가 아니었던 모음을 'ᆞ'로 적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에 따라 19세기의 '아다'와 '다라다'처럼 '나'를 ''로 적는 형태가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라나다, 아나다, 다라나다, 다라다, 달아나다, 아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라나다)
王이 드르시고 즉자히 禮服 니브시고 라나샤1459 월석 8:90ㄴ
16세기 : (라나다)
집 사이 다 라나 숨고 다 싀엄이 옷의 잇더니 ≪1518 번소 9:64ㄱ
17세기 : (라나다, 아나다)
녈뷔 젿 먹 식글 안고 라나니 ≪1617 동삼 열3ㄴ≫
아디 못게라 엇디 아난다1677 박언 하:55ㄱ
18세기 : (라나다, 다라나다)
뎌 집쟉 말고 라남이 무던다 ≪1721 오륜전비 1:10ㄴ
황쇠 화 함몰니 희종이 밤의 다라날1796 경신 47ㄴ
19세기 : (라나다, 다라다, 다라나다, 아나다, 달아나다, 아다)
바야흐로 식 야 유인으로 라나 쇼강을 낫타 ≪1832 십구 1:25ㄴ
담을 조 다라면  나 감히 업슈이 네기리 업리로다 ≪1832 십구 1:91ㄱ-91ㄴ
공ㅣ 아나아 샤 ≪1832 십구 1:87ㄱ
놀나 다라나며 혜오 ≪1852 태상 4:54ㄴ
부인이 무덤으로 나와 달아나 며 혼나 사람의게 말치 못문 그 무셔워물 인미더라 ≪1887 성전 마가복음 16:8
모단 셤이 달아고 산 보지 못리라 ≪1887 성전 요한묵시록 16:20

관용구·속담(2)

속담달아나는 노루 보고 얻은 토끼를 놓았다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다가 도리어 손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닫는 사슴을 보고 얻은 토끼를 잃는다
속담달아나면 이밥 준다
위험이 닥쳐 몸을 피해야 할 때에는 싸우거나 다른 계책을 세우기보다 우선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는 말. <동의 속담> ‘삼십육계 줄행랑이 제일[으뜸]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