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니다

- 활용
- 다니어[다니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을】
- 「001」어떤 볼일이 있어 일정한 곳을 정하여 놓고 드나들다.
- 병원에 다니다.
- 여동생은 요즘에는 남자 미용사가 있는 그 미장원에만 다닌다.
- 늙은 솔장수 아버지의 뒤를 따라 주막거리를 지나 개똥지빠귀처럼 촐랑거리며 구례와 하동 장에 다니던 모습이 얼핏 되살아났다.≪문순태, 피아골≫
- 아버지는 얼마 전부터 약수터를 다니기 시작하셨다.
- 점심을 먹기 위해 그 음식점을 다니면서 주인과 안면을 익히게 되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대니다(경기, 충북, 평북), 대이다(경남), 댄기다(경남), 당기다(경상, 전라, 함경), 다이다(전남), 데니다(전남), 데이다(전남), 뎅그다(전남), 뎅기다(전남, 제주), 뎅이다(전남), 댕이다(전라), 땅기다(충북), 댄니다(평북), 대기다(함북)
역사 정보
니다(15세기~17세기)>니다(15세기~19세기)>니다(16세기~18세기)>다니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니다’의 옛말인 ‘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니다’는 “달리다”의 의미인 ‘-’과 “가다”의 의미인 ‘니-’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15세기부터 ‘니다’와 함께 ‘-’의 종성 ‘ㄷ’이 후행하는 ‘니-’의 초성 ‘ㄴ’에 동화되어 ‘니다’가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니다’에서 제1음절 종성 ‘ㄴ’이 탈락한 ‘니다’로 나타난다. 18세기 이후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19세기 이후 ‘다니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5세기의 ‘이다’는 ‘니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7세기의 ‘니다’는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경향에 따라 나타난 표기이다. 19세기의 ‘단니다’는 ‘니다’의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한 것이며, ‘니다’는 ‘니다’의 제1음절 모음 ‘ㆍ’가 후행하는 ‘ㅣ’의 영향으로 ‘ㆎ’로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니다, 니다, 이다, 니다, 니다, 니다, 단니다, 다니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