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ː습따

- 활용
- 우스워[우ː스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
- 「001」재미가 있어 웃을 만하다.
- 나는 그의 행동이 우스워서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 이 그림은 아주 우습다.
- 그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너무 우스워서 온 가족이 모두 깔깔대고 웃었다.
- 키는 작지만 눈썹이 짙고 입술이 두툼해서 다부지게 생긴 일영이가 걱정스러운 표정까지 짓고 있자 왠지 우스운 생각이 들었다.
- 여자는 함지박의 멍청스러운 얼굴을 우스워 못 견디겠다는 듯이 짓궂게 들여다보며….≪이문희, 흑맥≫
- 차장 아가씨는 뭐가 우스운지 실없는 웃음을 키득대고 있었다.≪이청준, 살아 있는 늪≫
- 외삼촌은 명희의 철없는 소리가 우스운지 피식 웃으면서 되물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 어쩐지 굉장히 못 견딜 만큼 우스운 생각이 치받쳐 올라 갈표가 웃음을 터뜨렸다.
- 나는 그가 쓰는 엉터리 라틴어가 우스워 그만 웃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 유모는 허둥대는 선이 모습이 우스웠던지 웃음을 머금었다.
- 준구는 우스울 것이 조금도 없는데 건성으로 따라 웃다가 자신이 놀림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박경리, 토지≫
- 박 병장의 드라큐라 같다는 표현이 우스웠던 모양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웃다(15세기)>우숩다(17세기~19세기)>우습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우습다’의 옛말인 ‘다’, ‘웃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 ‘웃다’는 “웃다”라는 뜻의 ‘웃-’과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 결합된 것이다. ‘다’에서 ‘웃’의 ‘ㅅ’은 모음 ‘우’와 유성음 ‘ㅸ’ 사이에서 ‘ㅿ’으로 바뀐 것이다. 이 ‘ㅸ’[β]은 15세기 국어에서부터 일반적으로 반모음 [w]로 변화하기 시작하는데 ‘다’, ‘웃다’에서는 [w]가 아니라 ‘웁’, ‘옵’으로 변화한 것으로 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17세기 문헌에서 ‘다’, ‘웃다’가 ‘우숩다’, ‘우솝다’로 바뀌고 현대 국어에서 ‘우습다’가 ‘ㅂ’ 불규칙 용언임을 고려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웃다, 우숩다, 우솝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관용구우습지도 않다
- 너무 어이가 없는 일이어서 기가 막히다.
- 나한테 잘못했다고 빌어야 할 사람이 자기가 잘했다고 도리어 큰소리치는데 정말 우습지도 않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