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올라가다발음 듣기]
활용
올라가[올라가발음 듣기], 올라가니[올라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으로】
「001」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가다.
나무에 올라가다.
벽돌 공장의 굴뚝 위에 올라가 종이비행기를 날리는 난쟁이의 꿈도 꾸었다.≪조세희, 우주여행≫
산마루로 올라가다.
어머니는 고추를 말리려고 옥상으로 올라가셨다.
벽돌 공장의 굴뚝 위에 올라가 종이비행기를 날리는 난쟁이의 꿈도 꾸었다.≪조세희, 우주 여행≫

관련 어휘

반대말
내려-가다
지역어(방언)
올러-가다(강원, 경북)
옛말
올아-가다

역사 정보

올아가다(15세기~17세기)>올라가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올라가다’의 옛말인 ‘올아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올아가다’는 “오르다”의 뜻을 가진 ‘오-’와 어미 ‘-아’, “가다”의 뜻을 가진 ‘가-’가 결합된 것이다. 15세기 국어에서 ‘오-’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올ㅇ’으로 어간이 변하였기 때문에 ‘올아가다’로 나타난 것이다. 15세기 국어에서 “모르다”의 뜻을 나타낸 ‘모다’는 ‘오-’와 같이 제2음절이 ‘’인 동사인데 ‘모-’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몰ㄹ’으로 어간이 변하여 어미 ‘-아’가 결합되면 ‘몰라’와 같이 활용하였다. 근대 국어 시기에 ‘오-’는 ‘모-’와 같이 활용하게 되어 ‘올아’가 아닌 ‘올라’라는 형태가 나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올아가다’도 ‘올라가다’로 나타나게 된다. 이 ‘올라가다’가 현재까지 이어진다. 한편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보이는 ‘올나가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어중에서 ‘ㄹㄹ’이 연속되어 나타나는 경우 ‘ㄹㄴ’으로 적는 표기 경향에 의해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올아가다, 올라가다, 올나가다, 올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올아가다))
忉利天에 올아가 네 塔애 禮數 ≪1447 석상 24:5ㄴ
16세기 : ((올아가다))
마다 올아가1567 몽육 11ㄱ
17세기 : ((올아가다, 올라가다, 올나가다))
南녁 뫼로 올아가며1632 두시-중 8:20ㄱ
東萊 올라가 送使의 樣子 고 ≪1676 첩신-초 1:20ㄴ
무덤의 올나가 ≪1617 동신속 열2:85ㄴ≫
重疊 로 오라가1632 두시-중 1:3ㄱ
18세기 : ((올라가다, 올나가다))
山에 올라가1721 오륜전비 6:12ㄱ
공듕으로 올나가더라1797 오륜 효:19ㄴ
19세기 : ((올라가다, 올나가다, 올가다))
섬을 디나 올라가 오 ≪1832 십구 2:58ㄱ
하노 올나가더라1852 태상 3:47ㄱ
놉피 올가1887 성전 에베소서 4:8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