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빼앋따

- 활용
- 빼앗아[빼아사



- 품사/문형
- 「동사」 【…에서/에게서 …을】
- 「001」((‘…에게서’ 대신에 ‘…에게’나 ‘…으로부터’가 쓰이기도 한다)) 남의 것을 억지로 제 것으로 만들다.
- 행인에게서 돈을 빼앗다.
- 그는 어린 학생들로부터 빼앗은 시계를 주인한테 돌려주었다.
- 어머니는 아이의 손에서 억지로 장난감을 빼앗았다.
- 단속반들 중에는 악착같이 쫓아와서 리어카를 빼앗고 물건을 길바닥에다 던져 버리는 자도 있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꼭 해적들처럼 기습적으로 달려들어 매 꿩 덮치듯 소작료를 빼앗아 지고 달아나는 바람에 번번이 허를 찔리고 말았다.≪송기숙, 암태도≫
- 현감은 형방이 들고 있던 채찍을 빼앗더니 힘껏 내리쳤다.≪유현종, 들불≫
- 부칠의 손에서 병을 빼앗아 들고 자기 또래의 친구들에게 술을 권했다.≪한승원, 해일≫
관련 어휘
- 준말
- 뺏다
- 참고 어휘
- 빼앗-기다
- 지역어(방언)
- 빼뜨리다(강원, 함남), 빼끄다(경남), 뺏들다(경남), 빼뜰다(경상, 황해), 빼-삿다(전남), 빼수다(전남), 빼아시다(제주), 배띨다(평북), 빼티리다(평북), 빼틸다(평북), 빼띠리다(평안, 황해), 빼띨다(평안, 중국 요령성), 빼틀다(평안), 앗아-빼다(함북)
역사 정보
앗다/앗다(19세기)/빼앗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빼앗다’의 옛말인 ‘앗다’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빼다, 뽑다”의 뜻인 ‘-’와 ‘빼앗다’의 뜻인 ‘앗-’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까지는 “빼앗다”의 뜻으로 ‘앗다’를 써 오다가 19세기부터 ‘앗다’가 쓰인 것으로 보인다. ‘앗다’는 ‘앗다’의 이표기로서 근대 국어 시기 ‘ㆍ’의 혼란으로 ‘ㆍ’와 ‘ㅏ’가 혼동되는 표기가 자주 보이는데 ‘앗다’도 이러한 현상을 반영한 표기이다. 19세기에는 ‘빼앗다’도 함께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앗다, 앗다, 빼앗다, 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