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흐리다발음 듣기]
활용
흐리어[흐리어발음 듣기/흐리여발음 듣기](흐려[흐려]), 흐리니[흐리니]
품사
「형용사」
「005」기억력이나 판단력 따위가 분명하지 아니하다.
기억이 흐리다.
정신이 흐리다.
입심 좋은 청백이가 장섬댁과 주고받던 말이 선뜻 떠오르자 귀덕이는 금세 가물가물 정신이 흐려 온다.≪천승세, 낙월도≫
서상복의 윤곽은 내 기억 속에 흐려 있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흐리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흐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 나타나 현재에 이른다. 18세기 문헌에서는 이를 과잉 분철한 ‘흘이다’도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흐리다)
 거시 흐리여 識이 發야 흘러나 境에 갈씨 ≪1459 월석 11:15ㄴ
므리 며 조호 일허  흐리면 일후미 濁이니 ≪1461 능엄 4:82ㄴ
구룸 흐리요미 므즤여 아래 미처 콰 갓가와 어루 바다 자보 ≪1463 법화 3:35ㄱ
佛日이 녜 조  그릇 中에 現시니 미 흐리여 그르시 야디면 ≪1465 원각 상1-2:119ㄱ
16세기 : (흐리다)
므리 흐리면 그르메 업고 므리 가 틔 업스면 ≪1522 법집 80ㄴ
17세기 : (흐리다)
기루믈 해면 우므렛 므리 흐리리라1632 두시-중 8:32ㄴ
18세기 : (흐리다, 흘이다)
하히 흐리거든 강탕애 골라 흘리라 ≪17세기 마경 하:33ㄱ
天暗昏 하 흘이다1775 역보 1ㄱ
흐리다1790 몽해 상:7ㄱ
19세기 : (흐리다)
흐리다] 濁 ≪1880 한불 98
튼튼 징검리 노앗나 날 흐리고 비 올 에 ≪1894 천로 상:11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