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드리다

- 활용
- 드리어[드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
- 「001」‘주다’의 높임말.
- 아버님께 용돈을 드리다.
- 부모님께 선물을 드리다.
- 인호가 황급히 편지를 도로 싸서 끈으로 묶어서 태공에게 드렸다.≪김동인, 젊은 그들≫
- 제사 때에 첫 번으로 신위에게 술을 드리는 초헌은 말할 것도 없이 언제나 종손이 먼저 드린다.≪최명희, 혼불≫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디리다(강원, 경상), 더리다(경상, 전라,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안네다(제주)
역사 정보
드리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드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6세기의 ‘들이다’는 ‘드리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드리다, 들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