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느러지다발음 듣기]
활용
늘어지어[느러지어발음 듣기/느러지여발음 듣기](늘어져[느러저발음 듣기]), 늘어지니[느러지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으로】
「001」물체가 당기는 힘으로 길어지다.
고무줄이 양쪽으로 늘어지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나롯-하다(제주)
옛말
늘읫늘읫-다

역사 정보

느러지다(18세기~19세기)>늘어지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늘어지다'의 옛말인 '느러지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느러지다'는 '늘-'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를 연철 표기 한 '느러'와 "떨어지다"의 의미인 '디다'가 근대 국어 이후 'ᅵ' 모음 앞에서 'ᄃ'이 'ᄌ'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를 겪은 형태인 '지다'가 결합한 것이다. 19세기부터 '느러지다'를 분철 표기 한 '늘어지다'가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느러지다, 늘어지다
세기별 용례
18세기 : (느러지다)
下垂了 通稱 느러지다1748 동해 하:54ㄴ
19세기 : (느러지다, 늘어지다)
그 시쳬  업더져 느러지니1852 태상 2:19ㄱ
늘어지다 垂 ≪1895 국한 6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