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보다

- 활용
- 보아[보아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눈으로 대상의 존재나 형태적 특징을 알다.
- 잡지에서 난생처음 보는 단어를 발견하였다.
- 교차로를 건널 때에는 신호등을 잘 보고 건너야 한다.
- 수상한 사람을 보면 신고하시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바레다(제주)
역사 정보
보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보다’는 15세기부터 현재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보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8)
- 관용구보기 좋게
- 남이 낭패 본 것을 고소해하며 비꼬아 이르는 말.
- 그녀는 이번 시험에서 보기 좋게 떨어졌다.
- 관용구보는 눈이 있다
- 사람이나 일 따위를 평가하는 능력이 있다.
- 김 군은 사람을 보는 눈이 있습니다.
- 관용구보란 듯이
- 남이 보고 부러워하도록 자랑스럽거나 떳떳하게.
- 보란 듯이 살다.
- 그는 성공하여 고향 사람들 앞에 보란 듯이 나타났다.
- 관용구보자 보자 하다
- 마음에 들지 않지만 참고 또 참다.
- 얘가 보자 보자 하니까 못 하는 소리가 없네.
- 관용구볼 장 보다
- 해야 할 일을 알아서 하다.
- 그는 이제 볼 장 볼 줄 아는 성인이 되었다.
- 관용구볼 장(을) 다 보다
- 일이 더 손댈 것도 없이 틀어지다.
- 아들이 도박에 빠져 그 집은 볼 장 다 보게 되었다.
- 속담보고도 못 먹는 전라도 곡식
- 필요한 것을 눈앞에 두고도 마음대로 쓰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두고도 못 먹는 전라도 곡식’ ‘전라도 곡식이라’
- 속담보고 못 먹는 것은 그림의 떡
- 아무 실속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고 죽재도 없다
- 요구하는 물건이 조금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기 싫은 반찬이 끼마다 오른다
- 너무 잦아서 싫증 난 것이 그대로 또 계속되어 눈에 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기 싫은 처도 빈방보다 낫다
- 정이 들지 않는 처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뜻으로, 가정에는 살림하는 여자가 있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
- 내용이 좋으면 겉모양도 반반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기 좋은 음식 별수 없다
- 겉모양은 좋으면서 그 내용이 별로 좋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는 바가 크면 이루는 바도 크다
- 모든 것을 넓은 안목을 가지고 보고 뜻을 크게 가져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자 보자 하니까 얻어 온 장 한 번 더 뜬다
- 못되게 구는 것을 보고 참으니까 고치기는커녕 더욱더 밉살스럽게 행동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지 못하는 소 멍에가 아홉
- 눈먼 소에게 멍에를 아홉 개나 메웠다는 뜻으로, 능력도 없는 사람에게 무거운 책임만 잔뜩 지워졌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보지 못한 도적질은 못한다
- ‘본 놈이 도둑질한다’의 북한 속담.
- 속담본 놈이 도둑질한다
- 자세한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도둑질을 못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나 실정을 알아야 그 일을 감당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