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짇ː발음 듣기]
활용
짓만[진ː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몸을 놀려 움직이는 동작.
나쁜 .
어리석은 .
부질없는 .
짐승만도 못한 .
짓을 부리다.
미운 짓만 골라서 한다.
그 사람은 돈 받고 그런 할 사람이 아니다.
죽지 않고 살아서 자식에게 못 할 시키는 것이 한스럽다.
내가 그때 한 짓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굴이 달아오른다.
아이고, 저놈 하는 좀 보게.
난 이제 억만금이 생긴다 해도 이 짓이 싫어졌소. 난 지금 가겠소. 형님 혼자 마산으로 가든지 대마도로 가든지 맘대로 하시오.≪최인호, 지구인≫
뭔가 광폭한 힘이 아랫배로부터 끓어오르는 기분이었다. 무슨 짓이건 못 할 짓이 없을 것 같은 그런 기분이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즛(15세기~19세기)>짓(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짓’의 옛말 ‘즛’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즛’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휴지 앞에서는 ‘즛’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났다. 16세기 후반부터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즛’으로 나타났으며 간혹 중철되어 ‘즛시’와 같은 이표기도 나타났다. ‘즛’은 19세기까지 나타나다가 이후에 ‘ㅈ’ 아래에서 ‘ㅡ’가 ‘ㅣ’로 동화되는 전설 고모음화 현상에 의하여 ‘짓’으로 나타나게 되고 현재에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즛, , 즜
세기별 용례
15세기 : (())
다 羅刹女ㅣ 골 업슨 을 지 눈에 블 나아 번게 니 ≪1447 월곡 69ㄴ
16세기 : ((즛, 즜))
모 ≪1527 훈몽 상:12ㄴ
화열 빗 둗 이 반시 완슌 즛시 읻니 ≪1588 소언 2:9ㄴ
19세기 : ((즛))
무 냐 ≪1880 한불 557

관용구·속담(2)

관용구짓(을) 내다
흥에 겨워 마음껏 멋을 내다.
관용구짓(이) 나다
흥겹거나 익숙하여져서 하는 행동에 절로 멋이 나다.
  • 콧노래에 짓이 나서 어깨춤을 춘다.
  • 일을 시키래서가 아니라 제가 저절로 짓이 나면 아무도 못 말렸습죠. ≪박완서, 미망≫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