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짇ː

- 활용
- 짓만[진ː만

- 품사
- 「명사」
- 「001」몸을 놀려 움직이는 동작.
- 나쁜 짓.
- 어리석은 짓.
- 부질없는 짓.
- 짐승만도 못한 짓.
- 짓을 부리다.
- 미운 짓만 골라서 한다.
- 그 사람은 돈 받고 그런 짓 할 사람이 아니다.
- 죽지 않고 살아서 자식에게 못 할 짓 시키는 것이 한스럽다.
- 내가 그때 한 짓을 생각하면 지금도 얼굴이 달아오른다.
- 아이고, 저놈 하는 짓 좀 보게.
- 난 이제 억만금이 생긴다 해도 이 짓이 싫어졌소. 난 지금 가겠소. 형님 혼자 마산으로 가든지 대마도로 가든지 맘대로 하시오.≪최인호, 지구인≫
- 뭔가 광폭한 힘이 아랫배로부터 끓어오르는 기분이었다. 무슨 짓이건 못 할 짓이 없을 것 같은 그런 기분이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즛(15세기~19세기)>짓(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짓’의 옛말 ‘즛’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즛’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휴지 앞에서는 ‘즛’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났다. 16세기 후반부터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도 ‘즛’으로 나타났으며 간혹 중철되어 ‘즛시’와 같은 이표기도 나타났다. ‘즛’은 19세기까지 나타나다가 이후에 ‘ㅈ’ 아래에서 ‘ㅡ’가 ‘ㅣ’로 동화되는 전설 고모음화 현상에 의하여 ‘짓’으로 나타나게 되고 현재에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즛, , 즜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