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짇치다]
- 활용
- 짓치어[짇치어/짇치여](짓쳐[짇처]), 짓치니[짇치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함부로 마구 치다.
- 승승장구의 기세로 이웃 나라들을 짓쳐 내려가 남쪽 땅을 모두 정복했다.
관련 어휘
- 옛말
- 즛-티다
역사 정보
즛티다(15세기~17세기)>즛치다(18세기)>짓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짓치다’의 옛말 ‘즛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동사 어간 혹은 접두사로 추정되는 ‘즛-’에 동사 ‘티-’가 결합하여 형성되었다. ‘티다’는 근대에 ‘ㅣ’ 앞에서 ‘ㅌ’이 ‘ㅊ’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를 겪어 ‘티다>치다’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즛티다’ 내부의 ‘티다’도 이 변화에 영향을 받아 18세기에 변화된 어형을 보여준다. 또한 19세기 이후 ‘ㅈ’ 아래의 ‘ㅡ’가 ‘ㅣ’로 변화하는 현상에 의하여 제1음절 ‘즛’은 ‘짓’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하여 19세기 이후에 나타난 ‘짓치다’가 현재에 이어지게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즛티다, 즛치다, 짓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