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짇찌타

- 활용
- 짓찧어[짇찌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함부로 몹시 찧다.
- 벽에 이마를 짓찧다.
- 칡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다.
- 이윽고 옆구리와 목덜미에 절굿공이가 짓찧는 것 같은 타격이 거듭 들어왔다.≪이문구, 오자룡≫
역사 정보
즛딯다(15세기~17세기)>짓찧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짓찧다’의 옛말 ‘즛딯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동사 어간 혹은 접두사로 추정되는 ‘즛-’과 동사 ‘딯-’이 결합하여 형성되었다. ‘딯다’는 근대에 ‘ㅣ’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화하는 구개음화와 경음화를 겪어 ‘짛다>찧다’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즛딯다’ 내부의 ‘딯다’도 이 변화에 영향을 받아 변화하게 된다. 또한 19세기 이후 ‘ㅈ’ 아래의 ‘ㅡ’가 ‘ㅣ’로 변화하는 현상에 의하여 제1음절 ‘즛’은 ‘짓’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하여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짓찧다’가 현재에 이어지게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즛딯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