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지루하다

- 활용
- 지루하여[지루하여](지루해[지루해]), 지루하니[지루하니]
- 품사/문형
- 「형용사」 【…이】【-기가】【-기에】
- 「001」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같은 상태가 오래 계속되어 따분하고 싫증이 나다.
- 영화가 지루하다.
- 밤은 무덥고 지루했다.
- 논쟁이 지루하게 계속되었다.
- 나는 기다리는 것이 지루하여 옆에 있는 잡지를 뒤적거리기 시작했다.
- 임명빈은 어눌한 말씨로 지루하게 설명을 하는 것이었다.≪박경리, 토지≫
- 그는 학생들이 경례하고 있는 그 짧은 시간이 지긋지긋하게 지루하게 생각되었다.≪유진오, 김강사와 T교수≫
- 병원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은 참기 어렵게 지루했다.≪최인훈, 광장≫
- 한마디도 귀에 들어오지 않는 안방의 이야기가 끝나기를 기다리기가 지루하고 조바심이 되었다.≪염상섭, 취우≫
- 협상에 나섰던 두 사람은, 기다리기에 지루해져 몰려온 동료 인부들에게 둘러싸였다.≪황석영, 객지≫
- 춘식은 영희를 기다리기가 지루한 듯 몸을 비틀며 서 있었다.
- 우리는 거의 한 시간 이상 동안 서로를 미워하면서 지루하게 싸웠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그해 여름은 몹시 지루하고 길었으며 성수가 고대하던 가을은 그만큼 더디게 오는 것 같았다.≪김용성, 도둑일기≫
- 우리는 거의 한 시간 이상 동안 서로를 미워하면서 지루하게 싸웠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세세녀에게는 아무것도 할 일이 없다는 것이 오히려 지루하고 견디기 어려웠다.≪박용구, 한강유역≫
역사 정보
지리다(15세기~19세기)>지루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지루하다’의 옛말 ‘지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지리-’의 활용형은 16세기부터 나타나나, 파생 부사인 ‘지리히’가 15세기 문헌에서 나타나므로 ‘지리-’는 15세기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지리다’는 19세기 문헌에까지 나타나다가 20세기 이후 ‘지루하다’로 바뀌어 현재에 이어졌다. |
---|---|
이형태/이표기 | 지리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