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지ː치다발음 듣기]
활용
지치어[지ː치어발음 듣기/지ː치여발음 듣기](지쳐[지ː처발음 듣기]), 지치니[지ː치니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3」마소 따위가 기운이 빠져 묽은 똥을 싸다.

역사 정보

즈츼다(15세기~18세기)>즈치다(19세기)>지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지치다’의 옛말 ‘즈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즈츼다’는 18세기까지 나타나다가 19세기에 ‘ㅢ’가 ‘ㅣ’로 바뀐 ‘즈치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에는 ‘ㅈ’ 아래의 ‘ㅡ’가 ‘ㅣ’로 표기되어 ‘지치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어지게 된다.
이형태/이표기 즈츼다, 즈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즈츼다))
薑塩飮은 乾霍亂이 吐코져 호 吐티 몯고 즈츼오져 호 즈츼디 몯닐 고티니 ≪1466 구방 상:35ㄴ
16세기 : ((즈츼다))
오직 을 며 믈 맛볼 거시라 아비 을 즈츼여늘 黔婁ㅣ 믄득 가져다가 맛보니 ≪1518 번소 9:31ㄴ
17세기 : ((즈츼다))
가막죠개 겁질로 세 식 머겨 모딘 거슬 즈츼여 누면 역글 드믈게 니라 ≪1608 언두 상:7ㄴ
18세기 : ((즈츼다))
坐溜下 안자 즈츼여 리다 ≪1775 역보 25ㄱ
19세기 : ((즈치다))
즈치다 즈칫즈칫다 ≪1880 한불 558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