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지레

- 품사
- 「부사」
- 「002」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 또는 어떤 기회나 때가 무르익기 전에 미리.
- 지레 겁을 먹다.
- 감독은 시합도 하기 전에 지레 포기하려는 선수들을 독려했다.
- 그는 경찰차를 보고 지레 놀라 달아났다.
- 어딘가 좀 지레 시치미를 떼고 있는 게 분명해 보이는 목소리로 엉뚱하게 의뭉을 떨어 대고 있었다.≪이청준, 서편제≫
- 장성댁은 지레 얼굴을 붉히고는 나직하게 쏘아붙인다.≪천승세, 낙월도≫
- 모든 것이 너무 아귀가 잘 맞아 오기창이는 지레 흥분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 움치고 뛸 수 없는 상황을 뻔히 알면서 원균이 지레 저런다 싶었던 것이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 섣불리 그의 과거를 들추었다간 빨갱이로 몰릴 거라고 시골 사람들은 지레 겁을 먹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 육손이를 가리키며 그들은, 저놈은 눈까지 멀쩡하니 앞으로 무슨 짓을 할는지 모른다고, 지레 엄포부터 놓았다.≪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 예비 사이렌이 울리면 아들과 딸은 지레 불을 끄고 이 층의 제 방으로부터 후다닥 층계를 서넛씩 건너뛰어 내려와 안방으로 들어왔다.≪오정희, 어둠의 집≫
- 솔직하게 말하면, 양이를 어느 정도 알고 난 후부터 나는 그가 내 결혼 상대자일 수는 없다고 지레 못을 박아 두고 있었던지도 모른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농성에 나선 자로서의 용맹이나 등등한 기세는 아예 씨를 감췄고, 앞으로 벌어질 일에 지레 겁부터 먹어 잔뜩 주눅이 들어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영식이도 전부터 들은 말이 있는지라, 내심으로는 그런 불안이 없지 않지마는, 피차에 지레 걱정을 하기가 싫으니 듣기 좋은 소리를 하는 것이었다.≪염상섭, 취우≫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질거(경북), 즐거(평북, 함북), 즈르(함경), 지리(함남)
- 옛말
- 즐-에
역사 정보
즐에(17세기)>즈레(18세기~19세기)>지레(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지레’의 옛말 ‘즐에’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즈르-’에 부사를 만드는 접미사 혹은 어미로 추정되는 ‘-에’가 결합하여 ‘즐에’가 형성되었다. 이 접미사 혹은 어미 ‘-에’는 이 어형 외에 많은 예를 보여 주지 않지만 형태적으로, 의미적으로 ‘즐에’가 ‘즈르-’에서 온 부사인 것은 확실하므로 다른 설명이 어렵다. ‘즈르-’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즈르-’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즐ㅇ-’로 교체되었으므로 ‘-에’ 앞에서 ‘즐ㅇ’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어형은 17세기에 나타나다가 18세기부터는 연철된 ‘즈레’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19세기까지 이어진다. 한편 근대 후반에 ‘ㅈ’ 아래에서 ‘ㅡ’가 ‘ㅣ’로 바뀌는 전설 고모음화 현상이 일어나는데 ‘즈레’도 이 변화를 겪어 19세기부터 ‘지레’가 등장하게 된다. ‘지레’는 20세기를 거쳐 현재에 이어지게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즐에, 즈레, 지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관용구지레 꿰지다
- 일의 앞뒤 맥락은 전혀 모르면서 무조건 참견하기를 좋아하다.
- 관용구지레 채다
- 지레짐작으로 알아차리다.
- 서방님은 그 속이 무엇임을 지레 채고 눈 하나 떠보려 하지 않았다. ≪김유정, 정조≫
- 속담지레 약은 참새(가) 방아간 지나간다[지나친다]
- 제 딴에는 똑똑한 체하면서도 실상은 요긴한 것을 빼놓고 행동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
- 속담지레 터진 개살구
- 맛없는 개살구가 참살구보다 먼저 익어 터진다는 뜻으로, 되지 못한 사람이 오히려 잘난 체하며 뽐내거나 남보다 먼저 나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개살구 지레 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