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팔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
팔을 벌리다.
팔을 들다.
팔을 굽히다.
팔을 뻗다.
나는 탁자 위에 팔을 괴고 손으로 이마를 짚은 자세로 눈을 감았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시내에는 이제 양복이나 양장 대신 완장을 팔에 두른 괴상한 복장들의 인물들이 활개를 쳤다.≪홍성원, 육이오≫
그러면서 장 서방은 웅보의 팔을 잡아끌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칼을 입에 문 막둥이는 두 팔을 팔랑개비처럼 휘둘러 두 사람을 쫓아갔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15세기)>(15세기~19세기)/(16세기~19세기)>팔(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팔’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서 ‘/’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이미 15세기에도 어두 유기음화를 거친 ‘’ 형태가 나타났으나, 17세기까지는 ‘/’과 ‘/’의 두 형태가 공존하였다.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의 예는 이미 15세기 ‘왜’와 같은 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까지는 ‘’의 예도 여전히 문헌에 나타났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팔’ 형태가 나타났다.
이형태/이표기 , , , , 팔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
펴엣던  구필 예 ≪1447 석상 6:2ㄱ
 사미 소로 콰 바 고 구피락 펴락게 라 ≪1466 구방 상:77ㄱ
爲臂 ≪1446 훈해 55
肘는 니 사 周尺로  자 여듧 치오 ≪1459 월석 10:118ㄱ
 마자 손과 왜   고 입과 괘 기울어든 ≪1489 구간 1:29ㄱ
16세기 : (, , )
오월 오일에 다 가짓 빗난 시를  면 잠개며 귓거슬 퇴케 면 덥단 을 닮디 아니케 니 ≪1542 분문 7ㄱ-ㄴ
 臂 비 ≪1527 훈몽 상:13ㄴ
曲禮예 오 와 안즘애 을 빗기디 아니며 ≪1588 소언 3:17ㄱ
17세기 : (, , )
 것 소노라 야 일즉 셕 노며  혀 鶖鶬 디요롸 ≪1632 두시-중 2:40
도적이 노여 칼흐로 흘 베히고 녑 되 죵시예 굴티 아니고 ≪1617 동신속 열5:55ㄴ≫
짇기 입의 그치디 아니니 도적이 그 을 버혀 짇기 더옥 모딜이 대 ≪1617 동신속 열8:52ㄴ≫
입예 과 다리과 손과 발 알 증이 이시니 ≪17세기 두경 59ㄴ
18세기 : (, )
이 구슬은 내  얏던 거시러니 ≪1737 어내 3:31ㄴ
그 사이 왼녁 이 살에 마자 傷여시나 목숨은 오히려 傷치 아니엿더라 ≪1765 청노 2:19ㄱ
흉 계의 을 내니 특별이 그 졸되라 ≪1756 천의 1:73ㄱ
19세기 : (, , 팔)
공이 오 졍승은  다리과 히니라1832 십구 1:80ㄱ
몸으로 줄기 삼고 다리 과 슈죡으로 가지 삼지라 ≪1892 성직 47ㄱ
스로 문셔 써 의 팔의 고 가니 ≪1852 태상 1:10ㄴ-11ㄱ

다중 매체 정보(1)

  • 팔

관용구·속담(3)

관용구팔을 걷어붙이다
어떤 일에 뛰어들어 적극적으로 일할 태세를 갖추다. <동의 관용구> ‘팔소매를 걷다’ ‘팔소매를 걷어붙이다
  • 분에 못 이긴 장정 댓 명이 팔을 걷어붙이며 앞으로 내달았다.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속담팔 고쳐 주니 다리 부러졌다 한다
체면이 없이 무리하게 계속 요구를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속담팔이 들이굽지[안으로 굽지] 내굽나[밖으로 굽나]
자기 혹은 자기와 가까운 사람에게 정이 더 쏠리거나 유리하게 일을 처리함은 인지상정이라는 말. <동의 속담> ‘손이 들이굽지 내굽나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