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저지레하다]
활용
저지레하여[저지레하여](저지레해[저지레해]), 저지레하니[저지레하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일이나 물건에 문제가 생기게 만들어 그르치다.

역사 정보

저즈레다(18세기)>저지레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저지레하다’의 옛말 ‘저즈레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저즈레’는 현대 국어에 남아 있는 명사 ‘저지레’의 직접 소급형으로 보이며 의미상 “저지르다”를 뜻하는 ‘저즐다’와 관계가 있어 보인다. 즉 ‘저즐-’이 명사화 접미사로 보이는 ‘-에’와 결합한 결과 ‘저즈레’라는 명사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즈레’는 다시 동사 ‘다’와 통합하여 구 구성을 형성하고 현대 국어에 오면서 점점 한 단어로 굳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근대 국어 시기에 치음 아래의 ‘ㅡ’는 ‘ㅣ’로 전설 고모음화하는 현상을 겪었는데 ‘저즈레다’도 ‘저지레다’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 뒤 ‘다’를 ‘하다’로 적게 된 20세기에 와서 ‘저지레하다’로 바뀌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저즈레다
세기별 용례
18세기 : ((저즈레다))
착 일을 함즉 거늘 당시롱 그저 여 저즈레고 終日토록 놀기를 탐고 學에도 즐겨 ≪1765 박신 2:46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