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전거

- 품사
- 「명사」
- 「001」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로 바퀴를 돌려서 움직이게 하는 탈것.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 경주용 자전거.
- 자전거를 타다.
- 물건을 자전거로 실어 나르다.
- 자전거 한 대를 새로 샀다.
-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로 달리면 5분도 안 걸린다.
- 동네 사람들은 그가 아침저녁으로 음식 재료를 가득히 담아 싣고 힘겹게 자전거 페달을 밟아 대고 있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이제 그 독일 남자의 끈기도 한계에 다다라 자전거 가르칠 생각을 안 한다.≪김영희, 아이를 잘 만드는 여자≫
- 월급날이면 오빠는 쌀자루를 자랑스럽게 자전거 꽁무니에 싣고 왔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장 서방과 함께 자전거 편으로 먼저 와 있던 심찬수가 아버지께 말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 그는 곡물 따위의 현물은 모두 팽개치고 빈 자전거로 돌아오는 길이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자행-거(自行車)
- 지역어(방언)
- 자잔거(강원, 경북), 자전-게(自轉게)(강원, 전남), 자전개(강원), 자즌-게(강원), 자진-게(강원, 전라), 자잔가(경기), 자존-거(경기, 중국 길림성), 자진-고(경기, 중국 길림성), 재전-거(재전車)(경기, 황해, 중국 길림성), 자잉구(경남), 자전구(경남), 잔-차(잔車)(경남), 재잔거(경남), 자양-구(경북, 중국 흑룡강성), 자엔구(경북), 자잉-거(자잉車)(경북), 자진기(경북, 전북), 자양-고(경상, 중국 흑룡강성), 자잉-고(경상, 평안, 중국 요령성, 중국 흑룡강성), 자용-개(전남), 자용-게(전남), 자준개(전남), 자영-게(전라, 제주), 자영-거(자영車)(제주), 자전-채(제주), 자전-체(제주), 조롱개(제주), 조영-거(제주), 조옹개(제주), 조전-차(조전車)(제주), 조전거(제주), 조진거(제주), 재진교(충남), 자잔-구(충북), 자잰고(충북), 자전-교(自轉교)(충청, 중국 길림성), 재잔-고(충청, 중국 길림성), 재잉-고(평북, 중국 요령성), 자동-고(自動고)(평안, 중국 요령성), 쟁-거(평안, 중국 요령성), 쟁-고(평안, 함북, 중국 길림성, 중국 요령성), 재인교(함경), 재인-거(재인車)(함남), 자인-거(자인車)(함북), 쟁-교(함북, 중국 길림성), 자던-거(자던車)(황해), 자즌-거(자즌車)(황해), 자진-거(자진車)(황해), 자진-구(황해), 재진-거(재진車)(황해), 잰-거(잰車)(황해), 재앤고(중국 길림성, 중앙아시아)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