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어디발음 듣기]
품사
「감탄사」
「007」벼르거나 다짐할 때 쓰는 말.

역사 정보

어듸(15세기~19세기)/어(15세기~19세기)>어디(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어디’의 옛말인 ‘어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의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어디’ 형태가 등장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어듸’와 함께 ‘어’ 형태도 존재하였다. ‘*어’는 기원적으로 ‘어느, 엇디’ 등에서 보이는 의문의 형태소 ‘어-’와 “장소, 곳”의 의미하는 ‘’의 결합으로 추정되며 ‘어듸’는 합성어 내부가 긴밀해 지면서 모음조화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이형태/이표기 어듸, 어, 어디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어듸, 어)
如來 어듸 겨시니잇고 ≪1447 석상 11:10ㄱ
어듸 됴 리  니 잇거뇨 ≪1447 석상 6:13ㄴ
그제 龍王이 부텨  어 어늬 施 一切 樂陁羅尼句ㅣ고 ≪1459 월석 10:72ㄱ-ㄴ
丞相 祠堂 어 가 리오 ≪1481 두시-초 6:33ㄱ
太子ㅣ 聰明야 그른 잘거니와 히미 어듸 우리 이긔료 고 ≪1447 석상 3:12ㄴ
도혀 妻子 보리어니 시르미 어 이시리오 ≪1481 두시-초 3:24ㄱ
16세기 : (어듸, 어)
하 네 어듸셔 사다 내 측 문 겨틔셔 사노라 ≪1510년대 번박 상:11ㄴ
뎜이 어 잇뇨 뎌 셧녁 그테 잇니라 ≪1510년대 번노 상:68ㄴ
우리 가짓 톄 모 사히 친 뎨도 말 즈 아니니 姑舅 兩姨 예  어듸 무르료 ≪1510년대 번노상:16ㄴ-17ㄱ≫
危호 持티 몯며 顚호 扶티 몯면  어 뎌 相을 리오 ≪1590 논언 4:17ㄴ≫
17세기 : (어듸, 어)
내 남진곳 어면 싀어미 어듸 가 의탁리오 야늘 ≪1617 동신속 열:2ㄴ≫
어듸 다하 디고 何處着落 ≪1657 어록-초 20ㄱ
비록 식이 이시나 남진이 주그니 어 의지리오 ≪1617 동신속 열7:3ㄴ≫
어 甚底 ≪1657 어록-초 17ㄴ
怎磨敢 어듸1690 역해 상:31ㄱ
우리 나희 弟兄이 되여셔 어 혜아리리오 ≪1677 박언 상:63ㄴ
18세기 : (어듸, 어)
左右ㅣ 어듸 잇다 ≪1721 오륜전비 1:40ㄱ
何處 어 于何 무어세 從那裏 어로셔 往何處 어로1748 동해 하:48ㄱ
임의 姓이 업스니 어듸 일홈을 어드리오 ≪1721 오륜전비 2:33ㄱ
正히 人臣의 道ㅣ 反躬自責고 敢히 上에 歸咎티 못니라 어 황뎨 관셥 일이리오 다 뎌 小人들의 지어냄이라 ≪1721 오륜전비 5:41ㄱ
19세기 : (어듸, 어, 어대, 어디)
경이 동뇨 모하 잔 다 니 어듸로 조 고기 엇더 잔 엿뇨 ≪1852 태상 2:31ㄴ
싀부모ㅣ 안즈려거시든 자리를 밧드러 어듸를 향실고 쳥며 ≪1889 여사수지 4ㄱ≫
셩인이 마자 무러  오 쥬여 어로 가시니잇고 ≪1865 주년 69ㄴ
어 何處 ≪1880 한불 24
임의 힘을 내지 아냣시면 랑이 어대로 조차 오리오 ≪1892 성직 9ㄱ
어대 가랴 安住 어대서 어디 왓노 何處淂來 ≪1895 국한 209

관용구·속담(2)

관용구어디 (두고) 보자
앞으로 결과가 좋지 아니할 것이라고 벼르거나 앙갚음을 하겠다고 할 때 하는 말.
  • 이놈도 감투를 쓰더니 거만해졌구나. 제가 나를 이렇게 괄시해……어디 두고 보자. ≪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 허허, 참 기가 막혀서. 하기는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까우니 미친놈을 상대할 수도 없거니와, 어디 두고 보자, 네놈이 살아남는다면…. ≪박경리, 토지≫
관용구어디에다 대고
누구에게 향하여.
  • 아니 이 사람이 어디에다 대고 삿대질이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