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튼날

- 품사
- 「명사」
- 「001」어떤 일이 있은 그다음의 날.
- 밤새 아팠던 아이가 다행히 이튿날 아침 회복되었다.
- 전날 이것저것 섞어 마신 술로 머리는 지끈거리고 위는 쓰렸지만, 이튿날도 유쾌한 기분은 그대로였다.≪이문열, 그해 겨울≫
역사 정보
이틄날(15세기)>이틋날(15세기~19세기)>이튿날(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튿날’의 옛말인 ‘이틄날’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틄날’은 명사 ‘이틀’과 관형격조사 ‘ㅅ’, 명사 ‘날’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관형격조사 ‘ㅅ’이 결합하여 합성어를 형성할 경우 ‘ㅅ’ 앞에서 선행 명사의 말음이 탈락하기도 하는데 ‘이틄날’의 경우도 이와 같은 현상을 경험하였다. 즉, ‘ㅅ’ 앞에서 ‘이틀’의 ‘ㄹ’이 탈락하여 ‘이틋날’로 나타나기도 하면서 15세기에 ‘이틄날’과 ‘이틋날’이 공존한 것이다. 16세기 이후 나타나는 ‘이튼날’은 16세기에 음절말의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진 이 후 제3음절의 첫소리인 비음 ‘ㄴ’ 앞에서 ‘ㄷ’이 ‘ㄴ’으로 변하는 비음화를 경험하여 ‘이튼날’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즉 ‘이튼날’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16세기 이후 ‘이틋날’은 제2음절의 종성 ‘ㅅ’이 ‘ㄷ’으로, 즉 ‘이튿날’로 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근대국어에 와서도 ‘이틋날’로 동일하게 나타나지만 이는 실제로는 ‘이튿날’의 표기였을 것으로 이해된다. 제2음절의 종성 ‘ㅅ’이 ‘ㄷ’으로 변한 이후에도 여전히 ‘이틋날’로 표기된 것은 16세기에 음절말의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진 이후 근대국어 시기에 종성 ‘ㄷ’이 모두 ‘ㅅ’으로 표기되는 경향 때문이다. 20세기 이후 발음나는 대로 표기하는 표기 원칙에 따라 ‘이튿날’로 표기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이틄날, 이날, 이틋날, 이날, 이튼날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