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우다]
활용
이우어[이우어](이워[이워]), 이우니[이우니]
품사/문형
「동사」 【…을 …에】
「001」물건을 머리 위에 얹게 하다. ‘이다’의 사동사.
짐을 머리에 이우다.
두 내외가 아이년에게 가방을 이워 가지고 멀찌감치 따라나섰다.≪염상섭, 취우≫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에이다(경남)

역사 정보

닛위다(15세기~17세기)>니다(16세기)>니우다(16세기~18세기)>이우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우다’의 옛말 ‘닛위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닛위다’는 ‘닛다’에 사동 접사 ‘-우-’와 ‘-이-’가 이중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닛위다’는 ≪두시언해≫ 중간본에 한정되기는 하지만 17세기까지 용례를 보인다. 한편 16세기에는 ‘니다’가 나타난다. 이는 ‘닛()-’에 사동 접사 ‘-우-’만 결합한 사동사로 보인다. 이 ‘니다’가 16세기 후반부터는 ‘ㅿ’의 소실로 ‘니우-’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후 어두의 ‘ㄴ’이 탈락하는 현상을 거쳐 20세기 이후에는 ‘이우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닛위다, 니다, 니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닛위다))
 五色幡 며 燈 혀아 닛위여 게 며 숨  노코 ≪1447 석상 9:35ㄱ
16세기 : ((니다, 니우다))
宋 大明 시졀의 녁 히 가난고 니어 군 니러날 ≪1518 번소 9:32ㄴ
내죵애 東녁 히 흉황고 병난으로 니우니 여듧  시러곰 장을 경영티 몯야 ≪1588 소언 6:29ㄴ
17세기 : ((닛위다))
蕭瑟히 唐虞ㅅ 저기 머니 닛위여 楚와 漢괘 危亂도다 ≪1632 두시-중 16:10ㄱ
18세기 : ((니우다))
그 해 세히라 보건대 그 범 쟈ㅣ 죠셕을 니우기 어려워 일로 애 이 만니 ≪1757 계주 2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