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따가

- 품사
- 「부사」
- 「001」조금 지난 뒤에.
- 이따가 갈게.
- 이따가 단둘이 있을 때 얘기하자.
- 동치미는 이따가 입가심할 때나 먹고 곰국 물을 먼저 떠먹어야지.≪박완서, 도시의 흉년≫
- 너무 흥분하지 말고, 이따가 박 서기 나오면 물어서 차근차근 처리하시오.≪한승원, 해일≫
- 창애는 이따가 먹겠노라고 하고는 꿈속에서 자기가 노트에 적으려고 했던 일을 생각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 기왕이면 이따가 송 군한테 해임을 통고하는 자리에 이 선생님도 함께 계셨으면 하는데….≪윤흥길, 묵시의 바다≫
- 윤 선생님, 그렇지 않아도 이따가 날이 어두워지면 선생님을 한 번 찾아가 뵈려던 참이었는데요.≪이청준, 춤추는 사제≫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잇다가(18세기~19세기)>이따가(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따가’의 옛말인 ‘잇다가’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잇다가’는 “있다”를 뜻하는 ‘잇-’과 “어떤 동작이나 상태 따위가 중단되고 다른 동작이나 상태로 바뀜”을 뜻하는 어미 ‘-다가’가 결합된 것이다. ‘잇다가’에서 제1음절의 종성 ‘ㅅ’은 제2음절의 초성 ‘ㄷ’을 된소리화하는데 이로 인해 ‘이따가’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잇다가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