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끼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001」선태식물에 속하는 은화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잎과 줄기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고 관다발이 없는 하등 식물로 고목이나 바위, 습지에서 자란다.
돌담에 이끼가 끼다.
물살이 워낙 투명하고 급해서 개천 속의 돌들에는 이끼 하나 앉지 않았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15세기)>잇기(16세기~19세기)>잇(18세기)>이끼(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끼’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 ‘’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으로, 단독으로 실현되거나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잇’으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15세기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주격 조사 ‘-이’ 앞에서도 ‘이시’와 같이 ‘잇’으로 실현된 예가 보인다. 16세기에는 ‘’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잇기’가 나타났다. 이후 18세기에 와서 ‘잇기’가 자리 잡은 후 제2음절의 초성 ‘ㄱ’이 된소리가 되었는데, 18세기의 ‘잇’와 19세기의 ‘익기’는 이를 반영하는 표기이다. 한편 18세기 문헌에 보이는 ‘읻기’는 16세기 이래로 종성의 ㅅ이 ㄷ과 소리가 같아지면서 표기의 혼동이 생긴 것을 보여주며, 19세기의 ‘닛기’는 근대국어 후기 ㅣ모음 앞에서 ㄴ이 탈락한 현상을 의식한 과도 교정 형태이다.
이형태/이표기 , 잇, 잇기
세기별 용례
15세기 : (, 잇)
시긧 야 미 답답거든 므렛 효 잇글 즛두드려  즙을 머그라 ≪1489 구간 1:108ㄱ
돐 門읜 서리와 이슬왜 오 玉殿엔 이시 퍼러도다 ≪1481 두시-초 6:17ㄴ
陳公 글 닑던 지비여 돌기이 프른 무더 기우렛도다 ≪1481 두시-초 3:63ㄴ
16세기 : (잇, 잇기)
, 苔 , 藫 담, 蘚 션 ≪1527 훈몽 상:4ㄴ
 므레 프른 잇기 디허 즙  머그라 ≪1542 분문 27ㄱ
잇기 , 蘚 잇기 션 ≪1576 신합 상:8ㄱ
17세기 : (잇, 잇기)
先生은 일 歸去來 지으라 돌받과 새지븨 프른 이시 거츠럿니라 ≪1632 두시-중 15:38ㄱ
무든 대 본로 즐기논 거시언마 ≪1632 두시-중 15:15ㄴ
믈 가온대  잇기 시병의 열여 답답 증을 고티니 ≪1653 벽신 8ㄱ
18세기 : (잇기, 잇, 읻기)
靑苔 잇기1778 방유 해부:24ㄱ
靑苔 잇1775 역보 50ㄴ
읻기  苔 ≪1781 왜해 하:31ㄱ
19세기 : (익기, 닛기)
익기 苔 ≪1880 한불 38
닛기 苔 ≪1880 한불 286

다중 매체 정보(1)

  • 이끼

    이끼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